초록 열기/닫기 버튼

Pentecostalism in Korea has a history as long as Korean Christianity. There are largely two ways in describing the origin of Korean Pentecostalism. One derives from the arrival of Pentecostal denominations from abroad, mainly America; the other is indigenous to Korea. Korean Pentecostalism basically belongs to second and third wave Pentecostalism, although it cannot be defined as one category. There are ambiguous elements in the movement, which is not the same as the Western Pentecostalism. Korean Pentecostalism was the blend of American Pentecostalism and Korean d religion, especially shamanism. Further complicating the picture, the form of contemporary Korean Pentecostalism slightly differs from that in the past. Contemporary indigenous Pentecostalism tends to be group-based, have fixed membership and networks with other members unlike those in the past. Interestingly, indigenous Pentecostals are trying to bring many local pastors over to their side. Moreover, present indigenous Pentecostalism strengthens its own theories and maintains faith healing traditions, which are par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wave Pentecostalism. By so doing, it could attract the intellectuals and middle-class people in society. In terms of healing, new indigenous Pentecostal doctrine provides a biblical foundation of healing, which is broadly similar to third wavers’ doctrine. Indigenous Pentecostalism has not disappeared in modern Korean Christianity. It has developed in different forms as well as settled down in local churches. In order to argue this, this paper will give the examples of two pastors


한국의 오순절 성령 운동은 한국 기독교의 역사와 거의 맥을 같이 한다. 한국 오순절 운동의 기원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설명이 가능하다. 하나는 서구 기원설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 토착 기원설이다. 현대 한국 오순절 운동을 하나로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크게 보면 기본적으로 제 2물결과 제 3물결 성령 운동이 공존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설명에는 모호한 면이 있다. 제 2물결 또는 제 3물결과 같은 분류는 서구 오순절 운동을 나눌 때 사용하는 방법인데, 한국의 흐름과 같지가 않다. 한국 오순절 운동은 미국 오순절 운동과 한국 종교의 혼합형태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 오순절 운동은 토착적인 오순절 성령 운동이라고 말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 한국 오순절 성령 운동이 토착적인 것은 사실이나, 현대 한국 오순절 운동을 과거의 그것과 같다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 현대 한국 토착 오순절 운동은 그룹에 기초해 있는 경우가 많고, 고정된 구성원이 있고, 구성원 상호간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과거의 경우와 다르다. 더욱이 현대 오순절 운동은 치유를 하는 것은 같지만 신학적인 부분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점 때문에, 현대 한국 오순절 운동은 중산층과 지식층을 포섭할 수 있었다. 일부 신학자나 목회자들의 관점과는 달리, 한국의 토착 성령운동은 사라지지 않았고, 단지 변형된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것을 보여주기 위해 두 공동체를 방문해 관찰한 것을 나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