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보어를 인정하는 입장에서 주어, 목적어, 서술어 등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논의하여 보어 정립의 근거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국어의 보어는 서술어 자리에 오는 용언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문장 성분으로, 주어나 목적어와 같이 필수적인 성분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보어의 특성과 보어의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주어 및 목적어와의 비교를 통하여 보어의 문장 성분으로서의 지위를 정립하였다. 보어는 서술어가 요구하는 주어 이외의 성분이라는 점에서 목적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보어와 목적어는 서술어가 되는 용언이 대격 동사인가 비대격 동사 인가에 의하여 갈린다고 보았다. 또한 보어는 주어와 표면적인 형태가 유사하나 주 어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보어에 결합하는 보격 조사는 주격 조사와 형 태가 동일하지만 별개의 조사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status of Korean complements (‘보어’) by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objects, and predicates. The Korean complement is a required sentence constitu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b—which comes to the place of the predicate—as the subject or the object. In this paper, we first defin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the scope of complements and then identify the predicates of complements such as unaccusative verbs through comparison with subjects and objects. We argue that complement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to objects other than the subject being required by the predicate in terms of the constituent. We show that complements and objects are determined once verbs are accusative or unaccusative. While case-makers of complements are the same form as the nominative case-makers, they are in a different category from the la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