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개인주의화, 만혼현상, 이혼율 증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가족구조와 기능이 빠른 속도로 변화되는 추세에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가족친밀감이 노인부양의식의 영향관계에서 노인인식과 치매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 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 다. 통계분석을 위해서는 SPSS 20.0과 AMO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 백분율, 기술통계, 상관관계, 요인분석, 구조모형검증,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밀감, 노인인식, 노인부양의식은 초등학생이 가장 높고, 중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연령’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01). 또 종교에서는 종교가 있는 청소년의 가족친밀감이 종교가 없는 청소년 보다 더 높았다(p<.001). 둘째, 가족친밀감은 노인인식과 치매에 대한 태도, 노인부양의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노인인식은 치매에 대한 태도에, 치매에 대한 태도는 노인부양의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족친밀감(부모-자녀)은 노인인식에 7.8%, 가족친밀감과 노인인식이 치매에 대한 태도에 20.2%, 치매에 대한 태도와 가족친밀감이 노인부양의식에 34.1%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넷째, 가족친밀감과 노인부양 의식 간의 노인인식, 치매에 대한 태도의 절대 값이 1.96보다 높게 나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 초기에 가족친밀감과 노인인식, 치매에 대한 태도의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청소년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이나 태도가 올바른 지식을 전달과 긍정적인 부양의식 해결과 함께 세대 간의 갈등 해소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교육복지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attitudes toward old people and dementia in the influence of elderly couples in the aging society amid the rapidly changing family structure and functions due to the combination of individualization, marital status and divorce rate. In order to carry out such research purposes,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Gwangju, through self-subscribed questionnaire.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PSS 20.0 and AMOS 18.0 programs were used and frequency, percentages,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factor analysis, structural model validation, and the Sobel-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intimacy, elderly awareness, and elderly care were the highes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ed b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P.<.001). Also, in religion, the family intimacy of teenagers with religion was higher than those without religion (p.001). Second, family intimacy directly affected elderly people's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elderly care, old people's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directly affected elderly care. Third, family intimacy (parent-child) was found to be 7.8% for older adults, 20.2% for family intimacy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34.1% for elderly care (p.<.001). Fourth,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absolute value of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elderly people's awareness of elderly people and attitudes between family intimacy and elderly care has been higher than 1.96 and thus acts as a mediating role. These findings are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senior citizens through the resolution of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as well as the resolution of positive stimulus, by developing various programs such as family friendship, elderly awareness, culture with parents, and various experiences to improve attitudes toward dementia in early adolesc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