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전통사회 가운데 비교적 문헌과 사료가 많이 남아있는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교권경시 사례와 그 원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배움과 가르침을 가치 있게 여기고 스승을 어버이와 같이 존숭하는 동아시아의 학문적 전통과는 다르게 조선시대의 관학인 향교와 사부학당, 성균관에서는 오랜 시간에 걸쳐 교권 경시 사례가 나타났다. 사회 교화와 인재 양성을 위해 건립된 향교와 사부학당에서는 교관이 스승으로서 존중되지 못한 사례들이 있었으며, 심지어 조선시대의 국가 최고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에서조차 교관들을 우습게 여기고 교관들의 뜻을 거슬러 집단적으로 시위를 벌이는 사례까지 있었다. 이러한 조선시대 교권 경시의 사례는 학생 개개인의 비인격적인 품성과 자질 때문이라 할 수도 있겠지만 더 근본적으로는 교관들의 학문에 대한 소홀함과 태만한 행실이 원인이었으며, 훌륭한 자질과 실력을 갖춘 교관을 효과적으로 임용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 장치가 미흡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조선시대 관학에서의 교권 경시 실태와 그 원인에 대한 탐색은 오늘날 학교 교육에서 교권 침해를 방지하고 건전한 학교 문화와 바람직한 사제관계를 형성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결국 오늘날의 교권 경시 풍조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사 스스로가 먼저 교사로서의 학문적 자질을 키우며 올바른 품성과 덕성을 지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교사가 교사답게 스스로를 가꾸고 다듬어 나갈 수 있는 실제적인 제도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se and cause of the contempt of the educational authority, focusing on the Joseon Dynasty, which has a lot of literature and feed in our traditional society. Unlike the academic traditions in East Asia, where learning and teaching are valued and the teacher is revered like a parents, Hyanggyo, Sabuhakdang, and Sungkyunkwan in the Joseon Dynasty, have long been examples of contempt of educational authority. In Hyanggyo and Sabuhakdang, which were built to cultivate soci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there were cases where the instructor was not respected as a teacher, and even Sungkyunkwan, the nation's top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e Joseon Dynasty, made fun of the instructors and protested collectively against the will of the instructors. The case of contempt of educational authority of Joseon Dynasty can be said to be due to the impersonal character and qualities of each student. More fundamentally, however, was the negligence and neglect of the academics. In addition, there was a lack of institutional support to effectively recruit instructors with excellent qualities and skills. The search for the status of the disregard of the authority in the Joseon Dynasty, and its cause, have great implications for preventing the infringement of the authority in school education and for forming a a priestly relationship with a sound school culture. After all, in order to resolve the current trend of contempt of educational authority, teachers must first develop their academic qualities as teachers and have the right character and virtues. To this end, practical systems and measures should be in place for teachers to manage and refine themselves as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