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샤프비율 등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포트폴리오 성과지표들은 고차 적률 위험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 투자자의 효용함수로서 CARA 계열의 부의 지수함수를, 위험자산의 수익률 분포로서 왜도와 첨도 위험을 고려할 수 있는 역가우시안(normal-inverse Gaussian) 분포를 가정한 상태에서 기대효용을 극대화하는 일반적 성과지표(generalized Sharpe ratio, GSR)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투자전략의 사후적 성과를 추정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과지표의 신뢰성과 관련하여 GSR은 기타 성과지표들과 횡단면적으로 0.19~0.67의 상관계수를 발견하였으며 상관계수의 잔여적 차이는 GSR이 고차 적률 위험을 고려하는 특성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성과지표의 타당성과 관련하여 GSR 및 기타 성과지표를 이용한 무비용 투자전략의 실현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GSR의 경우 성과 추정치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기타 성과지표의 경우 음의 유의한 성과를 발견하였다. 이는 성과지표가 좋은 종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주가가 상승하고 실현수익률이 감소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성과지표가 갖는 정보가치를 국내 유가증권시장이 잘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Most of portfolio performance measures used in the market do not consider higher order moment risk like skewness and kurtosis. This study presented general Sharpe ratio (GSR) considering higher order moment risk and estimated ex-post performance of zero cost investment strategies based on performance measures including GSR. It is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cross-sectional correlations among Sharpe ratio, Treynor ratio, Jensen’s alpha, information ratio were found between 0.54 and 0.98. But correlation between GSR and these performance measures was located between 0.19 and 0.67. This difference is due to the fact that GSR considers higher order moments as additional risk factors. In the second place, investment strategy based on individual performance measure foun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or negative performance. This supports the efficiency of KOSPI market and implies that it is hard to make a risk-adjusted excess return using performance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