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PISA 설문 결과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과학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수법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캐나다, 에스토니아, 핀란드를 비교국으로 선정하고, 이들 국가의 PISA 2006과 PISA 2015 학생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는 과학 교수법 관련 활동 전반에 대해 응답 평균이 낮게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서 교사 주도의 설명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업에서의 피드백 제공과 과학 탐구의 실행과 관련한 수업 활동이 적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과학 수업에서 설명할 수 있는 수업 활동은 PISA 2006에 비해 크게 늘었으나, 실험 실습 및 실험 설계, 결론 도출, 토론 활동 등 탐구의 실행과 관련된 수업 활동은 PISA 2006 이후 지속적으로 과학 수업에서 적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과학 수업을 위한 개선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of science instruction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student questionnaire. To this end, Japan, Canada, Estonia, and Finland were selected to be compared with Korea, and the results of these countries’ student questionnaire in both PISA 2006 and 2015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item means associated with science instruction for Korean students were relatively low. In Korea teacher-directed instruction was less frequently conducted and also feedback and class activities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practices were less frequent compared to other countries. Second, class activities to explain students’ ideas during science class in PISA 2015 have much increased compared to PISA 2006, however, class activities related to practices of scientific exploration such as experimental practice, experimental design, drawing conclusion, and discussion were consistently less frequent since PISA 2006. Based on these results improvement pla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cience instruction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