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성취수준별 학업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5년에 걸친 고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중 3년 이상 동일한 성취기준에 따라 출제된 선다형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수학력 수준의 경우에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수학적인 용어의 개념 및 기본 성질을 잘 적용하여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잘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관련 성취기준은 숙달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보통학력 수준의 경우에는 수와 연산 영역의 ‘집합의 연산 법칙’과 문자와 식 영역의 ‘다항식의 사칙계산’과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와 관련된 문항은 잘 해결했지만, 기하 영역과 함수 영역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다소 낮아 이 영역에 관련된 성취기준은 숙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초학력 수준의 경우에는 단순한 다항식의 연산 이외에는 대부분의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수학의 성취기준과 관련된 분석 내용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의 내용과 유사해, 본 연구 결과는 현행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수학의 교수·학습 방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in achievement standards from the date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high school. For this, we analysed items written by the same achievement standards over more than three years from 2010 to 2014. The results showed that ‘Advanced level’ students are well solved achievement standards-related items to better apply the mathematical concept and basic properties presented in curriculum. And, ‘Proficient level’ students tend to difficult of test items belong to geometry and function area, ‘Basic level’ students seemed to difficult for the most of items except for simple operation of polynomial. The analysis of high school mathematics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s similar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high school mathematics in the current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