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 개념의 협의성이 처우 논의의 범위를제한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UNECE(2015)가 제시한 일자리 질의 개념체계를 기반으로 사회복지 종사자를 위한 처우를 재개념화하였다. 먼저, 사회복지 종사자의 처우의 개념, 처우 논의의 전개과정과 처우의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처우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처우의 하위구성요소가 어떻게 정의되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정부, 사회복지사협회, 민간단체 등의 사회복지 종사자의 처우에 대한 논의는 주로 임금과 노동시간에 집중되어 있었고, 선행연구는 임금, 노동시간과 함께 종사자의 심리적 요소들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 외 노동환경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요소들은 의제형성에서 배제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처우에대한 협의적 또는 분절적 논의의 한계를 지적하며, UNECE(2015)가 제시한 일자리 질의 7가지 개념체계 —1) 고용의 안전성과 윤리성, 2) 임금과복지혜택, 3) 노동시간 및 일과 삶의 균형, 4) 고용의 안정성과 사회보장, 5) 사회적 대화, 6) 교육훈련, 7) 직장 내 인간관계와 직무 동기— 에 따라사회복지 종사자 처우 개념의 확장 차원에서 일자리의 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결론에서는 일자리의 질 개념체계의 의의와 적용 시 유의사항을논의하고, 후속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blem of insufficient labor condition of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which have been pointed out for a long time, and reviewed the concept of quality of employment for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quality of employment suggested by UNECE(2015). Specific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concept of labor condition, the history of debate around the labor condition of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and the current labor condition of the workers. In addition, we examin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how the components of labor condition were defined. The discussion around labor condition of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has been focused on wage and work hours, and recently, started to emphasize the psychological factors and fringe benefits. Thus, this study extended the conceptual realm of labor condition of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via examin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utiliz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quality of employment suggested by UNECE(2015) including – 1) safety and ethics of employment, 2) income and benefits from employment, 3) working time and work-life balance, 4) security of employment and social protection, 5) social dialogue, 6) skills development and training, and 7) employment-related relationships and work motivation. In conclusion, we proposed policy provisions and follow up stud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