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세계의 선진 국가들은 고령화, 과학기술의 발전, 지식의 생명주기 단축 등으로 인하여 평생학습에 대한 사회․경제적 수요가 갈수록 증대함에 따라 대학의 평생교육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정부와 대학 차원에서 2008년부터 대학평생교육 관련 정책을 추진해 왔으나 정책의 일관성 및 사회적 공감대 부족 등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성인의 대학평생교육 수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중장기적 대학평생교육의 발전전략과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대표성 있는 24세 이상 성인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76.1%가 대학평생교육에 참여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참여 동기, 참여 희망 프로그램,학비 요구, 대학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성인의 대학평생교육 수요 중 비학위과정뿐만 아니라 학위과정에 대한 수요가 높고, 생애주기에 따라 수요의 변화가 나타남에 따라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중요함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평생교육의 확대를 위한 법체계의 정비, 대학평생교육지원사업의 합리적 재정지원과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생애주기별 평생교육 수요에 부응하는 학비지원과 프로그램 운영, 대학․지자체․산업계 간 파트너십 형성을 위한 대학의 교육플랫폼 역할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As the need for lifelong learning is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and a shortened life cycle of knowledge and skills, many developed countries emphasize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s major providers oflifelong education. Since 2008,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several policies that aim to strengthe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universities. Despite some success, issues such as a lack of consistency among similar policies and low social consensus towards those policies have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long-term policy approach to improve universities' provision of lifelong education based on a systematic needs analysis. Using a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ults over 24,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hat identified Korean adults' need f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and other relevant aspects. Results showed that 76.1% of the sample intended to participate i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Among those interested, a significant portion intended to participate in formal lifelong education. Also, individual adults’ needs varied according to their life stages.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policy approaches to support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a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