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언어장애의 진단과 중재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협조가 중요하다. 현재까지 사회복지사, 유아교사,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언어장애와 언어재활에 대한 인식도연구가 있었으나, 조기진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아청소년과 의료진에 대한 연구는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과에 근무 중인 의사와 간호사의 언어장애와언어재활에 대한 인식도와 이해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부산 소재 소아청소년과에 근무하는의료인 183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부터 4월까지 언어장애와 언어재활에 대한 인식도와이해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ver 9.4)를 이용하였으며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 등을 시행하였고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인식도는 간호사가5점 만점에 3.40±0.34점으로서 의사의 3.25±0.39점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이해도는의사가 5점 만점에 2.51±0.73점으로 간호사의 2.17±0.67점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대상자의 특성을 보정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인식도와 이해도 모두 직종이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인식도는 간호사에서 높았고, 이해도는 의사에서 높았다(p<0.05). 결론: 의사 집단은 이해도가높았으나 인식도가 낮았으므로 언어재활과 언어재활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개선이 요구되며, 간호사 집단은 인식도가 높았지만 이해도가 낮았으므로, 의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n speech-language disorders and rehabilitation by pediatric medical personnels. Methods: 183 pediatric staff at hospitals located in Busan were surveyed from March to April, 2015.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medical staff on the topic of speech-language disorders and rehabilitation.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ver 9.4) in addition to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05. Results: For the level of perception, the nurse group scored 3.40 ± 0.34 out of 5,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doctors' 3.25 ± 0.39 (p <0.01). The level of understanding was 2.51 ± 0.73 out of 5 for the doctors,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2.17 ± 0.67 for the nurses (p <0.01).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that the occupational group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Perception was high in nurses and understanding was high in doctors (p <0.05). Conclusions: Since the doctor group had high understanding but low perception, it may be necessary to improve recognition of speech-language disorders and pathology. In addition, since the nurse group had high perception but low 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fic and practical information that is used in the medical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