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공통 교육과정을 적용받는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맞춤형 수업 구현을 위해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1~2학년군, 3~4학년군, 5~6학년군 교과서의 교육내용 및 활동을 2015 개정 공통 교육과정 4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의 교육 내용 및 활동과 연계하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맞춤형 수업 구현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단원 분석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국가수준 공통 교육과정 3~4학년군 국어 성취기준에 기초한 세분화된 평가준거 성취기준을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특징과 현재 수행수준, 그리고 학습 목표를 반영하여 개별 맞춤형으로 마련하기 위한 접근 모형을 제안하며, 이를 적용한 공통 교육과정 3~4학년군 중 하나의 단원에 대한 기본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구현한 사례를 개발함으로써 교육과정 간 연계 가능성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공통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여러 가지 쟁점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inkage model between 2015 common curriculum and 2015 basic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under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at the elementary level. While developing a linkage model based on specified and modified achievement standards and evaluation criteria, we attempted to provide a unit level example of re-organized curriculum in the 4th grade Korean language subject for students who need instructional adaptations in general education environments. Basically,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nkage model for curriculum adaptations and suggest applicability of the model providing examples according to individual students' educational needs, present level of performance, goals, content and activities using their textbooks and teacher guidebooks. This study provided a model and analytic framework for implementing differentiation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based on the national common and basic curriculum. Regarding to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and curriculum adaptations,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