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이빙허각이 펴낸 『규합총서』(1809)에 담긴 내용을 가정 살림의 시각에서 검토하고, 지식 분야에 불어 닥친 변화를 탐색한 글이다. 『규합총서』에 담긴 지식은 가정 살림 지식과 함께 그 연원에 대한 지식도 제공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이 책은 가정 살림에 대한 지식을 새로운 지식으로 만들어 체계화했다는 의미가 있다. 이빙허각이 여성으로서 주관한 가정 살림을 여성 독자층을 겨냥해 지식화한 것이다. 여기에는 여성이 혼인 뒤에 시집으로 들어가는 于歸의 기간이 빨라지면서 살림 지식을 필요로 했던 사회 변화가 자리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규합총서』는 이미 빙허각이 살아있을 때부터 주변 여성들에게 필사되어 읽힌 인기 있는 책이었다. 이제 여성들 사이에서 살림 지식을 공유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이런 까닭에 1869년에 음식과 의복의 내용만 새로 편집한 ‘목판본 규합총서’도 나올 수 있었다. 이런 측면에서 20세기에 각종 요리책이 대중화되는 시초에는 『규합총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anew the content of Gyuhapchongseo(1809) published by Lee Bingheogak in the era of knowledge explosion from the perspective of housekeeping and investigate changes to the field of knowledge. In her book, Lee arranged housekeeping in a systematic manner and provided knowledge about its origin. In this aspect, the book made the knowledge about housekeeping systematic into new knowledge, thus holding significance. Lee turned her housekeeping knowledge she supervised as a woman into the knowledge of housekeeping economy, targeting female readers. This was set in the social change in which women moved into the family of the husband earlier after a wedding ceremony and needed knowledge about housekeeping. Gyuhapchongseo was a popular book, being transcribed by women around her even since she was still alive. The time had come when housekeeping knowledge was shared, as well. It led to the rebirth of the "block book of Gyuhapchongseo" that edited only the content about food and clothes in 1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