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실습 개정안에 대한 보육 관련 종사자들과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경남과 경기지역의 3~4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10명, 어린이집 원장 2명, 보육교사 4명,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전문요원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 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실습 기 간이 6주가 된 이유는 임기응변식의 대응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6주 보육실습 경험에 대해서 는 노력과 대가를 지불한 것에 비해서 성과가 미미하여 회의적인 인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의 체제 내에서 보육실습의 기관, 학급, 교사, 시기, 기간 연속성 등에 대해 고려한다면 한층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보육실습에 대해 굳센 의지로 문제를 해결해가고자 하는 보육종사자들의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자질 향상을 위해 더욱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정 책 마련이 요구되며 보육실습 개정안이 보육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한 지원 체계 마 련과 제도 개선의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child care practitioners and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purpose, 10 pre-service teachers, 2 childcare center directors, 4 childcare teachers, and 2 childcare support center ag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Gyeongnam and Gyeonggi provinces. Individual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As a result, the practicum period of six weeks is recognized as a consequence of armchair theories. The experience of the six-week childcare practicum was negligible due to the insignificant increase i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overall expenditure and cost in regards to both effort and financiall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t is expected to grow further considering the center, classes, teachers, period, and period continuity of the childcare practicum within the current system. Finally, we could confirm the needs of childcare workers to solve the problem with a strong commitment to developing good, well-rounded, and practical childcare practicums.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ies for more fundamental problem solving are needed to improve the personality and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and it is suggeste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and system improvement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revision to the existing childcare practic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