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기술과 정서지능 및 의사소통능력과의 관련성 을 살펴보고, 정서지능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이 매개 변인으로 작 용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G지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 교사 17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Baron과 Kenny의 모형에 따라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의사소통능력, 사회적 문제해결기술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 계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은 정서지능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관 계에서 완전매개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에 있 어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과 경로를 밝혔다. 이는 정서지능과 의사소통의 측면에 서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기술 증진을 위한 경험적 데이터와 방안을 제시한다는 의 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lso,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communication competence would mediate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9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G provinces.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proposed by Baron & Kenny using SPSS 22. 0 program. Furthermor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tating effect was examined by a Sobel test.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munication competence tot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This study determined the importance and pathwa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It has significance to provide empirical data and ways for improv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in term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