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더불어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투자에 대한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흐름과 달리, 국내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는 지난 10년간 줄곧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들에서 나타나는 이와 같은 역설적인 교육훈련 투자 행태를 규명하고자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훈련 투자의 특성과 우리나라 기업의 의사결정 시스템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기업은 직원들을 교육훈련하는 데 있어서 (비)금전적인 투자를 감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 투자의 불확실성도감수해야 한다. 이는 위험을 수반한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자의 인식에 따라 교육훈련 투자의 수준이 다를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기업의 의사결정에 관한 통제 시스템인 지배구조(소유경영 또는 전문경영 체제)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기업의 지배구조는 서양의 기업과 달리, 소유와 경영이 명확히분리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소유주가 경영에 깊이 개입하는 사례가 흔히있다. 우리나라에서 소유경영이 가족경영과 서로 상당한 관련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행동대리인 이론의 관점과 교육훈련의 특성을 토대로 소유경영 체제 또는 전문경영 체제에 따라 교육훈련 투자에대한 위험을 인식하는 정도가 다를 것으로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전문경영 체제의 정도가 높을수록 해당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한다. 달리 말해, 소유경영 수준과 교육훈련 투자는 부(-)의 관계를 보일 것이다. 그리고 이런 효과는 기업이 집단성과급을 운용할 때와 외국인의 지분참여가 있을 때에 각각 강화될 것으로 본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전문경영 체제의 정도는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의 소유경영 수준이 높을수록 교육훈련 투자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이 집단성과급을 운용할 때, 전문경영 체제의 정도와교육훈련 투자와의 정(+)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이와 같은 결과의 이론적·실무적시사점에 대해 논의한다.


With the advent of a knowledge-based society, scholars have increasing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of firms. Unlike this trend, however, Korean firms’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has been decreasing over the past decade. Thereupon,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paradoxical investment behavior of Korean firms. To shed light on such paradoxical investment decision of Korean firm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a decision-making system of Korean firms. When firms make (non-)financial investment in training and education for their employees, it entails the risk of uncertain outcomes. This means that the level of a firm’s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may be dependent on its decision makers’ perceptions of investment risk. As such,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a firm’s governance structure (ownership management or professional management), which is a control system for corporate decision-making. Contrary to corporate governance of firms in other countries, corporate governance of most Korean firms is not unambiguously separated. Also, even owners of Korean firms with the separation of ownership and management are likely to be deeply engaged in management. Given that ownership management in Korea is closely associated with family business, this study assum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ownership management can be understood interchangeably with the one of family business. Based on the behavioral agency model, a theory which accounts for owner- and professional managers’ perceptions of investment risk, this study assumes that both owner- and professional managers may heterogeneously perceive and interpret the risk of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depending on their participation in management. Specific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vel of professional manager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is positively related to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owner-manager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Moreover, we contend that the main effect becomes stronger when a focal firm implements group-based pay for performance. Finally, we suggest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rofessional manager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and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will be strengthened when foreign investors hold a focal firm’s shares. To test these ideas, we used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data from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 research institute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We found that the level of professional manager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That is, as owner-manager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increases, a focal firm’s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decreases. We also found that when a focal firm implements group-based pa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comes stronger. We discus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