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동시활용 차문화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공감능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위치한 H 유치원과 G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8명을 각각 14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 하였다.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척도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Ver. 24.0을 통해 각 집단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주의집중력 척도, 공감능력 척도,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동시활용 차문화치료 집단프로그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공감능력 및 또래유능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동시활용 차문화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공감능력 및 또래유능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는 기초능력 배양 차원에서의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공감능력 및 또래유능성 증진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서 동시활용 차문화치료 집단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tea-culture therapy group program using children’s verse on attention, emphatic ability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randomly assigned 14, 5-year-old, young children for eac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rom ‘H’ and ‘G’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Saha-gu, Busan, and we conducted pre-test and post-test f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category. And then, we performed an ANCOVA with pre-test of each group as a covariate variable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tilizing SPSS Ver.24.0 and we used attention, emphatic ability and peer competence as a measurement tool. This study shows that the tea-culture therapy group program using children’s verse enhances attention, emphatic ability and peer compet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mong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sitive application of the tea-culture therapy group program using children’s verse for enhancing attention, emphatic ability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s a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for fundamental capacity building as shown above that the tea-culture therapy group program using children’s verse does positive effect on attention, emphatic ability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