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산업전문감사인과 비전문감사인 사이에 직급별 감사시간투입(audit labor mix hour)의 차이가 있는지 조사한다. 자본시장의 관련자들은 감사품질에 지대한 관심을가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감사품질을 제고하기 위해 그동안 동일감사인의 3년 연속 선임, 감사인 강제교체를 포함한 여러 가지 장치를 도입해왔다. 최근에는 부분적으로 존재하던감사인 지정을 향후 모든 상장기업으로 확대 적용한다고 공표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관심을 반영해 감사품질에 관해서는 수많은 선행연구가 존재한다. 그러나 대다수의 연구가감사품질을 비롯한 산출물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투입물의 효과를 조사하지는 않고 있다. 산출물이 노력의 투입으로 나타난다고 볼 때, 감사 투입물에 대한 이해는 산출물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2014년부터 공시되기 시작한직급별 투입시간자료를 이용하여 감사품질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산업전문감사인과 그렇지않은 비전문감사인의 투입시간이 체계적으로 다른지 조사한다. 본 연구는 2014~2017년의 상장기업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파트너 레벨에서 추정한 산업전문가는 파트너 투입시간이 비전문가에 비해 유의하게높았다. 그러나 감사법인 레벨에서 추정한 산업전문가의 파트너 투입시간은 비전문가와 차이가 없었다. 한편, 산업전문성이 있는 감사법인이나 감사파트너의 수습회계사 투입시간은비전문가와 비교해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더 낮은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러 산업전문성 대용치를 이용한 분석, 내생성 완화를 위해 성향점수매칭이나 Entropy balanced 매칭을 사용한 결과에서도 유사하였다. 또한 직급별 시간 외에도 산업전문가는 파트너와 법인 차원에서 모두 총시간, 수주산업 전문가시간을 더 많이 투입하였다. 그러나 품질관리검토자시간은 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선행연구의 발견에 대한 다음의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 해외 선행연구가 산업전문감사인의 높은 감사품질 및 감사보수를 발견한 것은 산업전문감사인이비전문감사인과 체계적으로 다른 직급별 시간을 투입하는 것에 부분적으로 기인하고 있다. 둘째, 산업전문감사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직급의 시간을 더 많이 투입하는 것은 최근의 연구들이 감사품질의 제고에 파트너 차원의 노력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는 바와도 일관성이있다. 셋째, 전문성을 파트너차원에서 계산할 때만 전문가가 비전문가에 비해 높은 직급의시간을 더 많이 투입한다는 결과는 감사투입물에 있어서도 파트너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추가적인 증거가 된다. 또한 감사법인 차원에서 규명한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파트너 투입시간 사이에 차이가 거의 없다는 본 연구의 발견은 국내 선행연구가 감사법인 차원에서 규명한 산업전문성과 감사품질 사이의 관계가 일관적이지 않은 것에 대한 해석의 기초를 제공하기도 한다.


We investigate whether and how audit labor mix differs between industry specialist auditors and their non-specialist counterparts. Since high quality audit output is of the ultimate importance in the audit market, most previous studies focus on audit outputs (e.g., audit quality). However, audit outputs are influenced by audit inputs (e.g., audit effort). As such,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inputs and outputs is essential part of understanding how audit quality is determined. We extend the extant research by examining the audit labor mix of expert auditors identified at the audit partner level and audit firm level vis-a-vis the audit labor mix of their non-expert counterparts. Exploiting a regulatory development in Korea that requires mandatory disclosure of audit labor mix in conjunction with total audit hours from 2014, we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expertise and audit partner hours, senior hours, and junior hours. We find that specialists identified at the audit partner level put more partner hours in audits than non-specialist partners. However, this relationship exists for experts identified only at the partner level and not at the audit firm level. We also find that specialist auditors put less junior hours or insignificantly different junior hours than non-specialist auditors identified at the firm level and the partner level. Our results are consistent across several different robustness tests. Our findings are robust even after controlling potential endogeneity by applying a propensity score matched sample, an entropy balanced matched sample, and the Big4 auditor client sub-sample. Taken together, our finding indicates that audit inputs are systematically different across specialist and non-specialist audi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