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거대한 세계화 속에서 어느새 자기 정체성마저 잃어버리는 문화의 위기에 봉착할 때 신화가 그 답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신화의 기능과 형식들이 연구되어야한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하며, 그러한 신화의 연구가 최종적으로는 우리에게 자기 정체성만이 아니라, 보편적 세계관을 지닐 수 있도록 할 것이라는 것을 밝혀보고자 한다. 첫째, 20세기 초 정치신화를 만들고 그 신화의 기능을 활용하여, 유태인들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을 강화하고, 그들에 대한 차별을 정당화한 독일 나치의 정치신화를 통해서, 신화의 기능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근대인들이 원시종족의 종교와 의례에 대해 야만으로 규정하거나 비논리적인 것으로 규정함으로써, 원시종족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정당화했던 사실과 연관하여 토템종교와 식물제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농사와 관련된 제례들 속에 등장하는 신화적 형상들을 고찰함으로써 우리가 가진 문화적 편견을 논하고자 한다. 삶의 풍요에 대한 소망을 중심으로, 정치신화, 토템의례 및 식물제례, 신화적 형상들의 전개 등을 살펴보고자 하며, 신화적-종교적 의식과 신화형식 일반에 대한 카시러의 고찰을 통해, 신화에 의한 편견과 차별, 혹은 그와 반대로 신화에 대한 편견과 차별, 둘 다 신화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것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nsists on that the function and form of myth must be studied and corroborates my views that the study of myth ultimately gives us self identity and the universal view of the world, when we meet with a cultural crisis losing self identity in the rapid globalization. First of all, this thesis takes a close look at the function and the meaning of myth through Nazi's political myth that Nazi leaders created, with that they intensified some preconceived notions and prejudices about Jews and justified discrimination against them. Second, what it examines is totemism and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of plants that the modern Europeans labelled primitive tribes as the barbarism or the illogical and justified discrimination against them, although Europeans's myths and rites also had totemism and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of plants. Third, mythical images of agricultural rites were compared. That way, it argued the developments of mythical conscious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