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의사결정 유형의 차이를 탐색하고 현직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의사결정 유형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실천 속에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는 데 도움을 주는 실천적 지식의 기능과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대전 · 충남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과 학생 중 교육실습을 다녀온 3 ‧ 4학년의 예비 유아교사 150명과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현직유아교사 2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사용하여 두 집단의 비교를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실천적 지식수준과 의사결정 유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현직교사가 예비교사에 비해 높은 실천적 지식을 지니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반면, 예비교사는 현직교사에 비해 실천적 지식 수준이 낮고 직관적, 즉각적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직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로 실천적 지식은 연령과 경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의사결정 유형 중 합리적 유형은 대학원 학력 이상의 교사들이 높았으며, 의존적, 회피형 유형은 어린 연령의 교사들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현직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합리적, 의존적 의사결정 유형과 정적인 상관성을, 직관적, 즉각적 의사결정 유형과는 부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현직교사의 교육환경지식과 유아이해는 교사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교육환경지식은 교사의 의존적, 회피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교육과정지식, 교육학습지식, 그리고 유아이해는 교사의 즉각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예비· 현직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과 교육경험을 활성화하여 유아교사들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도움으로써 유아교사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practical knowledge and decision-making typ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preschool teachers. It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in-servi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nd their decision-making types and how the practical knowledge have an influence on the types. 150 pre-service teachers who completed their practicum and 200 in-service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D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two group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levels and their decision-making styles using SPSS 22.0. The results showed first, in-service teachers have higher practical knowledge and reasonable decision making than in-service teachers, while pre-service teachers have lower practical knowledge level and make intuitive and immediate decisions than in-service teachers. Second, the rational type of decision-making was higher for in-service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 than a graduate level, and the dependent and avoidance type were higher for younger age teachers. Finally, the practical knowledge of in-service teach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ational and dependent decision-making type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uitive and immediate decision-making types. In-service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 knowledge and child understanding influence their rational decision-making style, and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knowledge influences teacher's dependent and evasive decision-making styles. In addition, teachers’ curriculum knowledge, educational learning knowledge, child understanding have effects on their immediate decision-making style. It was discussed that it is importa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to help the teachers develop their practical knowledge so they can play important roles as rational decision-ma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