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1980년 이후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와 10인 이상 중소규모 사업체의 임금격차 추이를 살펴보고 1984년부터 2018년까지 평균 및 분위별 임금격차 분해방법을 통해 사업체 규모별 임금격차 변화 추이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사업체 규모별 임금격차에 대한 분석에는 가중치조정법을 기존 임금격차 분해방법과 함께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평균 임금격차는 Oaxaca-Blinder 임금격차 분해방법을, 저임금층, 중위임금층, 고임금층 임금격차는 무조건부 분위수 회귀분석에 바탕을 둔 임금격차 분해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대규모 사업체와 중소규모 사업체 간 임금격차는 1987년 이후 크게 증가하였다. 구성 효과와 임금구조효과가 모두 증가한 결과이다. 1990년대 초반 잠시 주춤했던 사업체 규모별 임금격차 증가세는 1990년대 중반 들어 다시 증가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사업체 규모별 임금격차 증가세는 저임금층, 중위임금층, 고임금층이 다른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이전의 임금격차 증가 국면과 차이를 보였다. 2015년까지 증가하던 사업체 규모별 임금격차는 이후 감소세롤 보였는데 구성효과와 임금구조효과 모두 줄어들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of wage gap between large firm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and small firm with more than 10 and less than 300 employees in Korea from year 1980 to year 2018. For analyses on the changes of firm size wage gap, this article uses the Oaxaca-Blinder decomposition methods with reweighting approach, and the methods for the wage decomposition which are based on unconditional quantile regression with reweighting approach that were proposed by Firpo, Fortin, Lemieux(2018) and Fortin, Lemiuex and Firpo(2011). The results show that the wage gap between large and small firm rose significantly since 1987 because both composition effects and wage structure effects were increased. In the early 1990s the wage gap by firm size did not rise, and increased again from the mid-1990s to year 2015. This increase in wage gap by firm size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quantiles. Since year 2015, the wage gap between large and small firm has narrowed as composition effects and wage structure effects have 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