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주체성은 사회적으로 매개된 과정이며 권리 부여와 권력의 문제이다. 그래서 새로운 사회적 주체들이 출현한다는 것은 자아의 심층 구조들을 동원하는 일이면서 동시에 자아 외적인 집단적 기획이다. 로지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머니즘적이고 탈-인간종중심주의적인 포스트휴먼 전망은 포스트휴먼 주체들이 체현되고 환경에 속한 존재이며, 횡단적이고 관계적이라고, 또 그래야한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동시에 포스트휴먼 주체들은 우리가 포스트휴먼적 곤경들과 기회들에 대면해서 과연 무엇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에 지속적으로 관련되어있는 진행 중인 과정이다. 로지 브라이도티가 2013년에 출판한 『포스트휴먼』과 2019년에 출판한 『포스트휴먼 지식』에서 개진한 포스트휴먼 주체성에 대한 전망과 그녀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우리 시대에 필요한 주체성 개념을 형성하는데그녀의 포스트휴먼 주체 개념이 어떤 중요한 개념적 자원을 제공하는지평가해보고자 한다.


Subjectivity is a socially mediated process and a matter of empowerment and power. Therefore, the emergence of new social subjects is a process which involves a collective project external to the self as well as its deep-seated structures. Rosi Braidotti’s vision of the posthuman, which is both post-humanistic and post-anthropocentric, makes it clear that posthuman subjects are, and should be, embedded and embodied, transversal and relational. As she insists, posthuman subjectivity is a work-in-process which constantly involves experimentation with what we are capable of becoming in the face of posthuman predicaments as well as opportunities. Rosi Braidotti’s vision of posthuman subjects and her critical posthumanism, which she developed in The Posthuman in 2013 and Posthuman Knowledge in 2019, are important platforms from which workable concepts of posthuman subjectivity worthy of the times might be formulated and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