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업중단의도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청주시와 증평군에 위치한 중학교 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 학업중단의도, 진로의사결정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측정모형 검증, 구조모형 검증 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 학업중단의도,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변인들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낙관성, 희망, 그리고 복원력은 진로의사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긍정심리자본과 학업중단의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그리고 진로의사결정수준과 학업중단의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의사결정수준을 매개로 하여 학업중단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 긍정심리자본이 학업중단의도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매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업중단의도의 관계와 진로의사결정수준을 매개로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 후속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더욱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in the relations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chool dropout inten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research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n=252) in Jeungpyeong-gun and Cheongju-si in Chungcheongbuk-do.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with statistical software SPSS 21.0 and AMOS 21.0. Analyses consist of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with measures design verific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hool dropout inten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Self-efficacy, optimism, and hope and resilience as sub-attribut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chool dropout inten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s well as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school dropout intention indicat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level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chool dropout intention was identified. Based on these results of study, the limitation of the research and the suggestion were provided with an expectation of a follow-up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