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서비스 조직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장애인 근로자의 조직적응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근로자는 조직 생활에서 어떠한 문제 및 사건에직면하며, 어떠한 상황과 관계 속에서 심리적 갈등이 형성되며, 그에 따라 최종적으로 어떠한 결과가도출되는지를 밝혀 장애인 근로자의 조직적응과정의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근거이론 방법을적용하였다. 장애인 근로자는 장애수준 및 직장 내 장애인 차별이라는 인과적 상황으로 인해 본 연구의 다양한 직장 애로사항을 경험하게 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심현상은 인간관계 갈등, 지리적거리, 업무능력 부진, 부당대우, 건강상의 문제, 감정적 애로사항, 복지관과의 갈등, 직원부족 및 편의시설 미비와 관련되었다. 이러한 중심현상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상황으로 장애인 지원활동과 장애인 차별이라는 요소가 발견되었다. 장애사실을 인지한 장애인은 장애인의 성격, 직장구성원과과의 관계 그리고 자발적 노력의 여부에 따라 개인, 조직 및 사회에 적응해 나간다. 직장 내 업무 적응과정은 업무적응 어려움의 시기, 직장동료・장애인 관련기 관의 도움 및 고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 근로자가 서비스업종에 근무하면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확인하며 조직에 적응해 나아갈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disabled workers in service organizations adjust themselves to the organization employing grounded theory, based on six components of the paradigm model. The level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discrimination as causal conditions lead to disabled staff experiencing workplace difficulties, which is the central phenomenon. This central phenomenon relates to conflicts in human relations, physical distance limitations, limited work capabilities, unfair treatment, health problems, emotional difficulties, conflicts with the rehabilitation center, staff shortage and absence of amenities in the organization. Context influencing central phenomenon included support for disabled staff and discrimination toward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Disabled persons start to adjust at the levels of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society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relationships with other workers, and personal effort.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workers with disabilities go through a period of time, wherein they face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the workplace. They were often offered support from other staff and also had to deal with customers’ perception towards them. This study showed that while working in the service organization, disabled staff are able to understand their value, adjust to their working environment by interacting with other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symbolic interaction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