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비현금화 시대가 도래하는 상황에서 모바일결제 서비스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환경 모두에서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경우 오프라인 상황에서의 모바일결제 서비스 시장은 기대만큼성장하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개발하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 환경에 따라 모바일결제 서비스에 대한 사용 태도 및 지속적 사용 의도에대한 선행 요인들의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296명의 모바일결제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성과기대와사회적 영향이 사용 이후 태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사용 이후 태도와촉진조건이 지속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용 환경에 따른 조절효과와 관련해서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선호집단 간에 성과기대가 사용 이후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촉진조건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토의는 모바일결제서비스 제공업체가 온라인 환경은 물론 특히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성과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전략 개발에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recent arrival of the non-cash era, mobile payment services are growing rapidly in both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s. Nevertheless, in Korea, the use of mobile payment services in the offline environment is still much lower than in the onlin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extended UTAUT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and analyzed how the influence of antecedent factors on the post-usage attitude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for mobile payment service varies depending on the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s. In this study, survey data of 296 mobile payment service users were used to verify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s show that performance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ost-usage attitude, and post-usage attitud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have an effect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the moderating effect by the use environment, the effect of performance expectancy on post-usage attitude and the effect of facilitating conditions on the continuance usage intention between the online and offline use preferenc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ur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mobile payment service providers with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differentiated strategies for improving performance, especially in offlin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