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숨의 단편소설에서 인간 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의식주에서의 ‘주(住)’가 첨예하게 다뤄지고 있음에 주목하여, 불안한 배치의 의미 구조와 설정 양상에 대해 논한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거주지는 낡고 열악한 환경이며, 안정된 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낯선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가상의 숲속이나 수명을 다한 구옥(舊屋), 폐쇄된 건물 등의 생성 구조는 비현실적인 이면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극명한 서사의 효과를 낳고 있다. 소설 속에서 조형된, 일반적인 주거지를 전복시키는 극대화 형태는 우리 사회의 도시 집중화가 낳은 ‘주거불안’에 대한 성찰이라고 할 수 있다. 불안정한 주거는 계층 간의 갈등과 위화감의 요인이 되고 있는 만큼, 문학작품 속에 구축된 주거지의 의미 양상을 통해 사회전반에 대한 관심과 통찰의 계기로 삼는다.


Focusing on the sharp treatment of “shelter”, one of the most basic units in human life, in Kim Sum’s short stories, this study set out to discuss the semantic structures and setting patterns of anxious arrangements in her works. In her stories, residential environments are set as strange and inferior spaces where people cannot lead a stable life. The generative structure of virtual woods, old houses close to their end, and closed buildings takes the form of the unrealistic back, thus creating clear effects of narrative. The form of maximization to overturn the general dwellings created in her works is her reflection on “residential anxiety” that is the outcome of urban concentration in the society. An inquiry into the semantic patterns of residential areas established in literary works will create an opportunity to promote interest and insight across th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