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감과 심리적 안녕감,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인지적 유연성이 우울감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남녀 대학생 242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심리적 안녕감 척도, 우울감 척도, 인지적 유연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감은 인지적 유연성과 심리적 안녕감 관계에서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인지적 유연성은 우울감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울감을 경험하는 대학생의 경우 인지적 유연성이 심리적 안녕감을 유지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을 위한 심리교육과 상담의 방향과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In this so, it is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242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cognitive flexibilit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results show that in case of college students under the influence of depression, their cognitive flexibility is seen to take a positive role in maintaining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study findings, it is discussed regarding the limitation of study, the suggestions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