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변인과 사회적 규준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통합적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도 소재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 373명을 대상으로 사회불안, 우울, 자기은폐, 지각된 사회적 규준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은폐는 사회불안과 우울의 관계를 부분매개 한다. 둘째, 지각된 사회적 규준 중 주의추구행동은 사회불안과 자기은폐의 관계를 조절한다. 셋째, 사회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규준과 자기은폐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인다. 즉, 사회불안 수준이 높더라도 주의추구행동을 사회적 규준으로 덜 지각할수록 자기은폐 수준과 우울의 정도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 결과는 통합적 모델을 통해 사회불안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치료적 제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by considering the individual’s internal factors and social norms. Three hundred seventy thre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ompleted measures of social anxiety, depression, self-concealment, and perceived social norms, and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ta are as follows. First, self-concealmen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Second, among perceived social norms, attention-seeking behavior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self-concealment. Third, perceived social norms and self-concealment modera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even where there is a higher level of social anxiety, there may be lower levels of self-concealment and depression when attention-seeking behavior is less perceived as a social norm.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id in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model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nd should provide the basis for therapeutic sugg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