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성인의 운동참여정도가 회복탄력성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 440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자료 34부를 제외한 406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2월부터 8월까지 약 6개월간 진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참여집단이 비 참여집단보다 모든 회복탄력성 하위요인(감정조절력, 충동통제력, 원인분석력, 소통능력, 공감능력, 자아확장력, 자아낙관성, 생활만족도, 감사하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정도가 높을수록 운동지속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참여정도는 회복탄력성 및 운동지속의도에 직접적인 정적영향을, 회복탄력성을 매개하여 운동지속의도에 간접적인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회복탄력성은 운동지속의도에 직접적인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the influence of intensity of adults’ exercise participation on the resilience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For this study, 440 adults in G-city were selected by the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and data of 406 subjects were analyzed in the final with excluding unreliable data such as ‘no answer’, or ‘double answer’ The statistical analysis followe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20.0 and AMOS 16.0 program. First, exercise participation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participation group in all sub-factors of resilience by the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the mor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Third, the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put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he resilience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n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exercise o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mediating resilience, and also, resilience put a direct positive effect o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