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환경변화에 직면해있는 부양가족연금제도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부양가족연금제도를 축소한 경험이 있는 영국과 일본 사례를 분석하였고, 부양가족연금제도와 가족부양지원제도 간 중복성을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수준에서 부양가족연금제도와 자녀양육지원제도들(아동수당과 자녀장려세제)의 중복성은 그리 높지 않지만, 향후 중복성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장기적으로는 제도 간 역할 조정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노인부양지원제도(기초연금)와 부양가족연금제도의 적용범위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65세 이상 부양가족연금 수급자의 기초연금액 수급율은 55.7%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두 제도의 급여 수준 차이로 인해 부양가족연금의 역할이 축소되고 있어 향후 부양가족연금제도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타 가족부양지원제도들의 급여수준과 적용범위 확대를 전제로 현행 부양가족연금제도의 적용범위를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자녀양육지원제도에 비해 노인부양지원제도와의 중복성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기초연금 수급자부터 단계적으로 부양가족연금의 적용대상자를 축소하는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desirabl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Dependents’ Pension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facing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ases of UK and Japan which have experienced social environment change and examined the overlap between Dependents’ Pension and other family support polici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lap between the Dependents’ Pension and the childcare policy (the child allowance and the CTC) is not so high at the current level, but potential overlap is likely to intensify. Second, in terms of coverage, the overlap between the Dependents’ Pension and the Basic Pension is low. But considering that recipients rate of the Basic Pension of the recipients of the Dependents’ Pension is high and the gap between the benefit levels of the two pensions is large, it seems that overlap between the Dependents’ Pension and the Basic Pension should be adjust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o gradually reduce the coverage of the current Dependents’ Pension when the level of benefits and coverage of other family support policies are expa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