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먹고 마시는 인간의 식사행위가 개인의 동물적 식욕을 채우는 차원을 넘어 공동체의 결속과 유대란 맥락에서 이루어질 때 그것은 인간의 문화적 향유란 가치를 증진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향유적 가치로서의 공동식사는 히브리성서의 이면에 면면히 흘러온 전통으로 특히 전도서에 그 핵심적 의미가 뚜렷이 인각되어 나타난다. 뿐 아니라, 그레코-로마의 문화사적 맥락에서도 에피큐리안 철학을 중심으로 먹고 마시는 인간의 행위가 다양한 맥락에서 어떻게 인간의 쾌락에 기여하는지, 또 이것이 로마의 제국 시기를 거치면서 어떻게 개인의 신체적 향유와 밀접하게 결부되어 나타나는지 여일하게 확인된다. 이러한 배경에 비추어 이 연구는 예수의 하나님 나라 운동에 나타난 그의 향유 지향적 일상의 스타일에 착안하여 ‘먹보요, 술꾼, 죄인의 친구’로 낙인찍힌 내력을 전복적으로 재해석하여 기존의 관점과 다른 문화신학적 의미를 부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수의 잔치 비유와 제자들과 나눈 마지막 식사 또한 그 종말론적 구원의 완성과 성례전적 신학의 의미망을 벗어나 구체적인 음식과 식사행위, 이에 참여하는 인간의 감각적인 체험과 그 향유 지향적 동기를 집중 조명함으로써 지금까지 간과해온 예수의 신학적 유산의 한 음지를 발굴해 그의 하나님 나라 목표에 내재한 향연/축제로서의 삶이란 과제를 재평가하고자 한다.


The human act of eating and drinking allegedly does not end with the satisfaction of an animalistic appetite. Rather, it contributes to promoting cultural jouissance in the context of community gathering, in such a way that consolidates its identity. As a way of embodying the jouissance value, the common meal appears to be a prominent motif in the Hebrew Bible. In particular, the Book of Ecclesiastes contains its pivotal aspect with a focus on the daily jouissance of eating and drinking. In Greco-Roman cultural context, mostly in the Epicurean philosophy, it is apparent that people had been increasingly sensitive to how their participation in a common meal would be conducive to human pleasure. Especially, the people during the period of Roman empire became gradually enlightened on their physical body as the host of dynamic pleasure. With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highlights Jesus’ peculiar images of glutton and drunkard, seeking to reinterpret its subversive setting of life from a cultural theological perspective. Along the same line, Jesus’ parable of the great banquet and the last supper are brought into further discussion, illuminating its sensuous feature as a jouissance-oriented experience, apart from its eschatological and sacramental implications. All in all, this study aims to rediscover and reestimate the motif of banquet/festival with the common meal as a significant factor of God’s kingdom, i.e. an important legacy of Jesus’ theology, yet to be reassessed as a jouissance aspect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