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부 상담 및 치료 시에 필요한 접근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배우자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을 각 하위항목의 영향력의 차이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배우자 조망수용과 일상적 부부호응도를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각 변인들에 성차가 있는지를 보고자하였다. 기혼 남녀 28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경향성을 파악하고 변인들과의 관계를 구조방적식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여성이 성적 완벽주의를 제외한 비합리적 신념이 남성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배우자 조망수용과 일상적 부부 호응도는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하여,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차이가 존재하였다. 여성에게서는 배우자 조망수용은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반대로 남성은 배우자 조망수용과 일상적 부부호응도 모두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한 효과나 나타났다. 비합리적 신념이 존재하더라도, 배우자 조망수용과 일상적 부부 호응도가 높다면,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적게 할 수 있으며, 남성과 여성의 상호작용 영향변인이 다름으로, 성별에 따라 다른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and irrational beliefs of spouses through the difference of influence of each sub-items. In addition, spouse acceptance and daily marital response were set as mediators of irrational beliefs to see how they affect dysfunctional communication and whether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85 men and women, and the trend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s with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men had higher rational beliefs than men except for sexual perfectionism. Second, spouse's outlook and daily couple's response were found to influenc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y mediating irrational beliefs. Third, there was gender difference. Conclusions: Even if irrational beliefs exist, if the spouse's acceptance and the usual couple's response are high, dysfunctional communication can be reduced, and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interaction between men and women are different, so that different approaches are needed by ge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