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예술 작품 개념을 장자의 무용지용 사상에 입 각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고찰을 위한 예비 작업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하이데거가 대화편 「러시아의 포로수용소에서 젊 은이와 노인의 저녁 대화」에서 장자의 무용지용 사상을 단순히 언급하 고 해설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사유와 창의적으로 접목했다는 점을 명시하는 것이다. 두 번째 예비 작업은 하이데거의 두 강의 형이 상학 입문(1935)과 철학의 근본 물음(1937/38)에서 철학이 직접적 으로는 무용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물의 본질에 대한 지배적인 앎 으로 규정되었다는 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철학은 사물들과 관련된 작은 쓸모가 아니라, 사물의 본질과 관련된 큰 쓸모를 발휘한다는 것이 다. 이상의 예비 작업들은 하이데거가 다른 저술들에서 무용지용 사상을 자신의 사유와 융합하려고 했던 은연한 시도들을 추론하는 데에 뒷받침 이 될 것이다. 이어서 본 논문은 「예술 작품의 근원」(1935/36)에서 작 품 개념을 무용지용의 관점에서 고찰할 것이다. 작품은 도구와 비교했을 때 쓸모가 없는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리의 생성을 통해 도구들이 속하는 세계를 건립하기 때문에 큰 쓸모를 가지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eidegger's concept of artwork in view of the thought Wuyongzhiyong . This examination needs two preliminary tasks. The first task is to state that Heidegger did not only mention the thought Wuyongzhiyong , but also combined it with his philosophy in the text Evening Conversation: In a Prisoner of War Camp in Russia, between a Younger and an Older Man . The second task is to show that philosophy is the immediately useless, though sovereign, knowledge of the essence of things in the lectures Introduction to Metaphysics (1935) and Basic Questions of Philosophy (1937/38). On the basis of these preliminary tasks, it is possible to extrapolate that Heidegger combines the thought Wuyongzhiyong with his philosophy in his other writings. This paper will then examine the concept of artwork from the viewpoint of Wuyongzhiyong in the text The Origin of the Work of Art (1935/36). When compared to tools, artworks are useless, but have a great usefulness, in so far as they as opening of truth build up the world to which tools bel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