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초급 한국어 수업에서 경력 한국어 교사와 예비 한국어 교사가 제공하는 스캐폴딩 양상을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스캐폴딩이 발생하는 교수 상황 맥락에 초점을 두고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스캐폴딩의개념과 유형을 새롭게 재정립하였다. 초급 어휘 문법 수업에서의 스캐폴딩 양상 비교 결과 첫째, 전체 스캐폴딩 제공 횟수에서 경력 교사는 178회, 예비 교사는 128.5회로 약 50회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경력 교사의 스캐폴딩 유형별 제공 빈도는 ‘모델링(45.51%)>모니터링(38.76%)>단서 제공(15.73%)’, 예비 교사는 ‘모니터링(60.7%)>모델링(29.57%)>단서 제공(9.34%)’ 순으로 나타났다. 경력 교사는 모델링을, 예비 교사는 모니터링을 가장 고빈도로 제공하였다. 셋째, 경력 교사는 모델링에서 학습자 오류가 발생한 경우 더 높은 빈도(25.84%)로 제공한 반면, 예비 교사는 학습자 오류가 발생되지 않은 상황에서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12.06%). 단서 제공에서는 경력 교사와 예비 교사 모두학습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더 높은 빈도를 보였는데, 경력 교사 24 회(13.48%), 예비 교사는 8회(6.23%)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력 교사가 예비교사보다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좀 더 활발하며 학습자 스스로 문제 해결을할 수 있도록 기회를 더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 경력에 따라 수업에서 제공하는 스캐폴딩 빈도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는 자료로서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운영에서 교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affolding shown in Korean language teachers’ speech by comparing the speech of experienced teachers with that of pre-service teachers. Previous studies on scaffol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focused on an analysis of the function and modalities of teacher scaffolding shown during class conversation, showing that teacher scaffolding has a positive effect on meaningful interactions with learners. The concepts and types of scaffolding scoping discussed in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first reviewed, but unlike previous studies, the types of scoping were redefined in accordance with specific teaching contex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experience in the pattern of scaffolding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caffolding provisions in the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 were fewer than the number of scaffolding provisions observed in experienced teachers.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showed large variations in the type of scaffolding, while experienced teachers showed relatively small deviations and a stable frequency of scaffolding. Second, pre-servic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the lowest frequency of modeling provision and the highest frequency of monitoring provision among the types of scaffolding, while experienced teachers showed high frequency in modeling and providing clues, and coped with learner error situations actively. This is because simple and repetitive monitoring scaffolding is a lesser burden on pre-service teacher than modeling that requires an immediate response to learner errors. As such, it turns out that experienced teachers have more vigorous interaction with learners than pre-service teachers and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problem solving skills to the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objective evidence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scaffolding in class depending on the teacher's experience, and that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scaffolding-related education and training on vocabulary and grammar items for language proficiency in the pre-service teachers' training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