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충주는 한반도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위상을 지 니고 있었다. 이러한 지리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조선시대 한양과 경상도를 오가 던 문인들은 자연스럽게 충주에 대해 특별한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먼저 조령 을 넘어가는 사람들에게 충주는 서울이 끝나는 곳이며, 향촌이 시작되는 곳으로 인식하였다. 반대로 조령을 넘어오는 사람들에게 충주는 서울이 시작되는 곳이 었다. 즉 충주는 서울의 시작임과 동시에 향촌의 끝이고, 향촌의 시작이며 서울 의 끝이 되는 지점이었던 것이다. 또한 충주는 실제 거리는 서울과 300여 리나 떨어져 있었지만, 육로와 수로 가 잘 발달되어서 심리적으로 한양과 매우 가깝게 느껴졌다. 따라서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서울에서 물러나야 하는 사람들에게 충주는 거리에 있어 비교적 안전하였기 때문에 조정의 의심을 피할 수 있으면서 쉽게 다시 나아갈 수 있는 곳 이었다. 하지만 진심으로 고향으로 물러나고 싶은 사람들은 조령을 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충주는 관직을 마음에 품고 있는 사람들이 거처를 정 하는 가장 마지막 지점이며, 충주를 벗어나 조령을 넘어가는 것은 완전히 물러 나 벼슬살이에 뜻을 두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Because of its central lo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Chungju historically has had an important status. Due to this geographical condition, literary nobles who traveled between Hanyang and Kyungsangdo, naturally held particular perceptions about Chungju. Those who climbed over Joryeong Mountain and left Chungju, saw it as a starting point on the way to villages and ending point of Hanyang (now Seoul), but for those who came to Chungju over Joryeong, Chungju regarded as a starting point on the way to Hanyang. Therefore, Chungju was a place of both beginnings and endings. Chungju seemed very close to Hanyang psychologically, even though it actually was actually 300 ri (about 118 km) away, because land routes and water routes were well developed. To the men of letters who had had to leave Hanyang for political conflict, Chungju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avoid the doubt of the court but easily return when necessary. However, those who retired from the political world and wanted to live in a smaller town climbed over Joryeong. Thus, Chungju was the last staying place for those who harbored ambitions of a post in the court but a passing place for those climbing the opposite way over Joryeong, meaning they had resigned from public office and would never retu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