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1930년대 전반기 고등보통학교의 역사교과서 검인정제도의 운영과 조선사교육의 양상을 분석한다. 1922년 제2차 조선교육령 실시 이후 고등보통학교 교과서 정책은 일본 문부성 교수요목을 조선에 적용하며 문부성 검정교과서를 도입하는 것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전환은 제2차 조선교육령 제정에서 표방된 ‘내지연장주의’의 일환으로 조선인과 일본인에게 동일한 교육을 실시한다는 방침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조선의 역사와 상황은 일본과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조선총독부는 검인정제도를 이용하여 문부성의 교과서 사용에 제한을 가하였다. 이러한 상황 하에 문부성은 1931년 교수요목을 개정하였다. 이 개정은 일본 내의‘사상문제’ 해결과 ‘대륙진출’을 뒷받침해줄 사상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바뀐 교수요목의 특징은 국사교육을 강화하며, 국사에서 조선사의 비중을 감소시키는 한편 조선사는 동양사에서 다루는 것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문부성의 변화는 조선사 교육을 통해 학생을 교화시킨다는 입장과 ‘日鮮關係’의 친밀성을 강조하여 한일병합의 정당성을 인식시켜야 한다는 조선총독부의 입장과는 배치되는 것이었다. 검인정제도에 대한 행정적인 불만도 커짐에 따라 조선총독부 내에서는 역사교과서 정책을 전환하여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조선총독부는 조선총독부 검정교과서의 확대를 통해 교과서 개입의 강도를 높이고 역사교과서의 사용에 편의를 제공함으로서 총독부 검정교과서의 채택률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 한편으로는 1935년부터 조선총독부가 교과서를 직접 발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1937년 새로운 교수요목의 개정이 결의됨에 따라 조선총독부의 교과서 편찬 작업은 실시되지 못하고 검인정 제도가 유지되었다. 이처럼 역사교육에 대한 입장 차이는 일본과 조선이 동일한 내용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즉 조선총독부와 문부성 모두 ‘국체관념’의 양성을 역사교육의 목적으로 내세웠지만 방법과 내용에 있어 차이가 존재했다.


This article discuss about specificity of Japanese imperialism’s censor system for an history textbook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1930’s. The Japanese imperialism applied inner-Japan education system to colonial Korean middle school after the secondary Korean education ordinance in 1922. This ordinance was part of the Japanese assimilation policy to colonial Korean citizen. But it was not worked. Because colonial Korean’s state of affairs were not same with Japanese. So consequentl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ensored middle school textbook itself. In these circumstances, the Japanese board of education amended curriculums in 1931. This education amendment was ideological groundwork to invading china and protect Japan from communism. Specificity of the education amendment was reinforcement history education, also decrease part of the Korean history in textbook. However, it was opposed to the Japanese board of education’s thought. Japanese board of education wanted to make friendly relationships between Korean-Japanese by education. Because these reason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hould change their education curriculum pla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ried to make high probability for censored textbook by expansion of using censored textbook and convenience of using history textbook. On the one h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nted to publishing of textbook in 1935, but it could not cause of the new education amendment in 1937. Also onl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censor system was stood. Differences of the position betwee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 Japanese board of education was based on concerns of interpretation about Korean history in the textbook. It meant they had different method and contents for history education to educate the Japanese imperial spir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