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서울로부터 한반도 동북부 지역인 함경도로 향하는 전통적인 길에 주목하여 조선시대 도로의 설치와 이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조선시대의 도로에 대한 규정은 초기의 법전에서 규정하고 있는데, 서울로부터 가까워 교통량이 많음에 따라 대로・중로・소로로 구분되어 관리되었다. 대로에 해당하는 역들은 세 갈래의 길에 해당하는데, 각각 서북(의주) 방면, 동북(경흥) 방면, 남부 방면으로 볼 수 있다. 서울로부터 동북부 극점에 해당하는 경흥(서수라)으로 통하는 길은 경흥로라 하여 조선시대의 간선도로 중 제2로로서 여러 지리지에 기재되었다. 경흥로의 지선 중 삼방로라 하는 길은 경흥로와 함께 함경도의 물산이 많이 집중되는 원산으로 통하는 주요 갈래길이었다. 삼방로는 보다 짧은 거리와 추가령 구조곡이라는 철령보다 완만한 고개를 넘었기 때문에 원거리 이동에 적합하여 길의 이용이 간선인 철령을 넘는 경흥로보다 잦아지게 되었다. 관방에 위협이 된다는 문제제기로 인해 삼방로의 치폐 여부를 두고 조선 정부에서는 반세기에 걸친 논의가 이루어졌는데, 보다 효과적인 중앙의 관리를 위하여 길의 허통이 용인되는 방식으로 결론지어졌다. 일제 시기에 철도가 부설되면서 경흥로가 재현되는데, 경원선~함경선~도문선이 바로 그것이다. 다만 경원선은 지선인 삼방로와 궤를 같이 하는데, 이 시기에 본격적으로 전통적 길인 삼방로(경원선)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대량 물류 수송에 적극적으로 이용되게 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stallation and use of roads during the Joseon Dynasty, noting the traditional road from Seoul to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amkyong Province. The regulations on road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stipulated in the Act, which was divided into boulevards, middle roads, and facilities due to heavy traffic due to its proximity of Seoul. The stations corresponding to the boulevard correspond to the three branches of the road, each of which can be viewed in the northwest(Uuju), the northeast(Gyeongheung) and the south. The road leading from Seoul to Gyeongheung (Seosura), the northeastern polar point, is called Gyeongheung-ro, and was listed on various geography as the second of the main roadways of the Joseon Dynasty. Among the lines of Gyeongheung-ro, there was a "shortcut" that did not cross the Iron Curtain. Along with Gyeongheung-ro, this road was a major forklift to Wonsan, where the mountains of Hamkyong-do are heavily concentrated. As Sambang-ro has been over a shorter distance and a slower head than the Iron Curve, the use of the road has become more frequent than Gyeongheung-ro, which is over the main line of Cheolnyeong, due to its suitability for long distances. Due to the issue of the threat to the government office, half a century of discussion was made in the Joseon government on whether Sambangro was destroyed or not, and it was concluded in a way in which road hubbub was tolerated for more effective central management.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railroa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Gyeongwon Line, the Hamkyong Line and Domun Line are reproduced. However, it was not until this time that the Gyeongwon Line(Gyeongwon Line) was actively used for the transport of bulk logistics under the capitalist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