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선교학 분야에서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기에 선교학 분야 한인디아스포라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진행할 연구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연구자는 2018년 “아세안지역 거주 한인디아스포라 연구의 필요성에 관한 고찰”에서 선교학 분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하여 연구한바 있다. 이 연구에서 필자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시스템을 통해 한인디아스포라를 주제로 연구한 국내 학술지 논문을 검색하고 데이터를 엑셀로 변환하여 분류, 검토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선교학 영역에서 한인디아스포라를 주제로 제출된 총 44편의 학술지 논문이 추출되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세 가지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인 한인디아스포라의 거주 지역이 편중되어 있다는 문제점이다. 둘째, 선교신학 분야의 한인디아스포라 연구는 선교실천 영역에서 연구자의 지속적인 연구 결과물이 확보되지 않는 것이다. 셋째 지속적으로 한인디아스포라를 연구하는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음의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지역별 한인디아스포라 연구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지역별 모임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인디아스포라 모임을 분석하고 모임에서 도출되는 연구 결과물 확보를 위한 다양한 학술적 작업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diaspora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missiology at a time when interest and research on Korean diaspora are increasing in the field of missiology and to se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e researchers put up an article “A Study to The Necessity of Korean diaspora Research for the Region of ASEAN.” Therefore theresearch team will analyze Korean academic papers that have been researched on topics related to the Korean diaspora in the field of missiology and exclude academic papers from the list. In this study, I searched Korean journal articles on the subject of Korean diaspora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System(RISS)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and converted the data into Excel for classification and review. As a result, a total of 44 academic papers submitted under the theme of the Korean diaspora were extracted from the field of missiology. The researchers found thre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first problem is that the area of residence in the Korean diaspora, which is studied, is biased. Second, the Korean diaspora study in the field of missiology does not have the continued research results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missionary practice. Third, it is necessary to foster experts who continuously study the Korean diaspora. There are three ways to address these problems: First of all, it is to train experts in Korean diaspora research by region. Next, community-specific meetings should be organized, and research should be activated for various regions. Final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Korean diaspora group and support various academic work to secure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