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미국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자기 정체성을 정의해 왔고, 세계사의 전개과정에서 자신의 역할을 어떤 이미지로 규정해 왔으며, 어떠한 지구질서를 구성하려 해 왔는가를 담론적 차원에서 분석하는 것은 미국의 대외적 행태를 설명하는 데 있어 핵심적이다. 특히 예외성에 대한 역사적 내러티브가 미국의 상징세계에 중핵을 이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예외주의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것 이 미국의 대외정책사를 조형해온 궤적을 추적해 본다. 그중에서도 탈냉전기 단극시대에 절정에 달 했던 예외주의가 오바마 시대에 들어 혼란에 빠지는 과정을 분석한 후, 트럼프 행정부에 와서 본격 적으로 미국의 예외적 정체성과 자유국제주의 전략이 부정되는 단절적 과정을 탐구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향후 미국 예외주의와 이에 기반한 자유세계질서의 향방에 대해 질문해 보 고자 한다.


Discussions on American exceptionalism have been on the rise in the landscape of political discourse. The neoconservative turn during the George W. Bush administration revived discussion about exceptionalism as a theme in American foreign policy. Even in the wake of the double debacles of the US military and economy demonstrated by the ongoing turmoil in Iraq and Afghanistan and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he age of populism has witnessed further politicization of the concept. The contemporary debate on US exceptionalism can be read as a symptom of the American identity crisis over the erosion of unipolarity, and it represents the contestation of various political solutions suggested by different ideological camps. Nowadays,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American exceptional identity is not only a scholastic exercise, but an urgent practical problem regarding the future direction of US leadership and the liberal world order. In this context, this paper will explore diverse definitions and theoretical explanations of American exceptionalism in US diplomatic history. Furthermore, it will investigate the political and academic debates surrounding the “death” of exceptionalism in Trump’s Amer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