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시민들이 육아공동체 참여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였고 특히 어머니와 아동의 삶에 어떠한 변화가 이루어졌는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의 일환인 서울시 공동육아 활성화 사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주제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분석 대상은공동육아 활성화 사업에 참여한 어머니들이다. 분석 결과 어머니 차원에서의 변화는 ‘양육 스트레스 완화, 양육자로 성장, 가치관 전환, 동네 친구가생김, 지역사회에 애정 갖기, 긴급 돌봄 가능, 나눔, 정책제안, 역량개발, 조직가 및 상담가로 성장, 마을 일자리로 확장, 초등 이후 돌봄 고민’의 12가지 주제가 나타났다. 아동 차원에서는 ‘보고 싶은 친구, 품어주는 이모, 성격 변화, 형제자매가 생김, 모임을 자랑함, 지쳐서 쉬게 됨’의 6가지 주제가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워킹맘의 육아공동체 참여 지원, 육아공동체를 통해 성장한 어머니에 대한 마을공동체 관련일자리로의 연계, 아동성장발달에 따른 돌봄공동체 활성화 정책 설계, 다양한 아동 연령에 따른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 등을 연구 함의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co-nurturing community, particularly the changes in the lives of mothers and children.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was utiliz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mother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ir lives.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12 themes were identified regarding changes in the mothers: reliefs from child-caring stress, growth as a caregiver, changes in their perspectives, making new friends in the community, increased interests in the community, finding a caregiver in times of emergency, giving back to the community, policy discussions, capacity building, taking a role of an organizer or a counsellor, extending to community work, and possibility of caregiving for school-aged children. Second, six changes were observed in children: making new friends, building relationships with other caregivers in the community, positive changes in personality, experiencing brotherhood or sisterhood, pride in the community, and taking a break due to fatigue.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develop co-nurturing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