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섹스투스는 피론학파 회의주의자를 계속 탐구 중에 있는 자로 규정한다. 이 규정은 피론학파에 대한 일관된 이해의 혼란을 야기한다. 탐구 중에 있다는 것이 규정이라면 탐구의 목표인 진리의 발견이 불가능해 보이고, 판단유보를 통해 평정을 획득하는 피론주의자에게는 탐구가 필요 없는 것 같기 때문이다.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진리탐구가 평정 목표만이 아니라 그 자체로 수행될 수 있다는 해석이 있지만, 이는 진리탐구가 이성의 요구라는 이념적인 구도만을 보여줄 뿐 실제적인 수행의 가능성은 설명되지 않은 채로 남겨진다. 섹스투스의 탐구 개념을 진리 찾는 탐구와 논박하는 탐구로 구분하여 이해할 때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리라 본다. 실제로 섹스투스는 탐구를 하나의 의미로 사용하지 않고 있기도 하다. 논박하는 탐구는 진리 찾는 탐구와 달리 자기의 목표를 성취하는 탐구이고 일차적인 탐구인 진리 찾는 탐구를 계속 수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주는 탐구이다. 이러한 해석을 통하여 피론학파의 계속된 탐구가 회의주의에 관한 설명 내에서 일관되게 이해될 수 있다.


Sextus Empiricus defines the Pyrrhonian skeptic as being in investigation. This definition makes a consistent understanding of the Pyrrhonian school impossible. If it is definition that he is staying o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it seems impossible to find truth, which is the goal of that investigation, and it seems that the investigation is not necessary for the philosopher who gains peace through Epochē. Some scholars try to solve these difficulties through the interpretation that investigation is not only aimed at Ataraxia. However, this shows only the ideological aspect of investigation as a demand of reason, but the possibility of actual execution is left unexplained. We can solve this problem when we divide the concept of investigation into 'investigation for truth' and 'investigation for refutation'. Actually, Sextus did not use inquiry in one sense. Unlike 'investigation for truth', 'investigation for refutation' is a quest to accomplish one's goal and to provide a basis for continuing the inquiry search for the truth, which is the primary inquiry. In this interpretation, Pyrrhonian 'staying on investigation' can be consistently understood within the account of skeptic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