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논지는 두 가지이다. 첫째 세 가지 기둥으로 이해하던 유식학을 인식목표와 인식과정이라는 두 가지 관점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고, 둘째 두 가지 관점 각각에 대해서 치유적 함의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첫 번째 기둥인 유식성과 세 번째 기둥 가운데 원성실성은 유식학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승의적, 성인의 인식과정의 목표라면, 범부의 인식과정은 변계소집성으로 드러난다. 유식성에 의해서 유식학은 변화의 심리학이 되므로 유식성은 치유의 가능 근거로 성립한다. 범부의 인식과정에서 변계소집성은 원성실성 또는 유식성이라는 유식학의 목표로 나아가야 한다는 치유적 함의가 있다. 두 번째 기둥인 삼식에서 전육식은 자신의 고유한 감각기능을 가지고 팔식으로 저장되거나 육식에서 종합한 이후에 팔식으로 저장된다. 저장과 관련해서 육근청정이라는 치유적 함의를 가진다. 의(意)는 자신의 고유한 감각기능, 종합하는 기능, 나중심으로 종합하는 기능, 이숙식으로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의는 전육식, 육식, 칠식, 팔식에서 모두 기능을 한다. 팔식을 대상으로 칠식의 정보처리를 통해서 육식으로 드러나는 것이 범부의 인식과정이다. 범부의 인식과정에서 나중심으로 이러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칠식이라고 한다. 나중심이 아니라 연기중심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성인의 인식과정이다. 팔식이라는 정보를 나중심으로 처리할지, 연기중심으로 처리할지의 문제가 칠식의 치유적 함의가 된다. 팔식 가운데 기억된 정보 즉 이숙식은 새로운 선택가능성을 함축하고, 장식은 올바른 기억하기와 기억내기의 함축이 있고, 신체유지식은 심신연기적 치유가능성을 가지고, 유분식은 숙세와 원가족에 대한 함의를 가지고, 기세간식과 공업식에서 환경과 사회적 요소가 치유의 영역으로 들어오고, 종자식과 훈습식은 붓다의 명언종자를 심게하고, 훈습여부를 결정한다. 언어적, 영상적, 에너지적 저장방법 각각이 치유적 함의를 가진다. 인식목표와 인식과정에서 어떤 것을 선택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심(心)이다. 전식득지, 변계에서 원성으로, 범부에서 성인으로, 세속에서 승의로, 나중심에서 연기중심으로의 선택은 팔식의 심의 작용이다.


This article has two themes. Firstly, understanding three kinds of pillars of Consciousness-only School can be viewed from two perspectives, cognitive goals and cognitive processes. Second, there are healing implications for each of the two perspectives. First pillars, consciousness-onlyness and the one of the third, the complete and perfect real nature or reality, is the goal of Consciousness-only School. If this is the goal of an ultimate, saint cognitive process,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layman turns out to be imputed nature. By consciousness-onlyness, the doctrine of Consciousness-only becomes a psychology of change, and therefore consciousness-onlyness is established as a possible ground for healing. There is a therapeutic implication that in the process of cognitive process of the layman, the imputed nature should move toward the goal of the complete and perfect real nature or reality. In the second pillar, Three kinds of consciousness, the first six consciousnesses is stored in eighth consciousness after having its own sensory functions. There is a healing implication of purification of six consciousness in relation to storage. Manas has its own sensory function, integrated function, I-centered integrating function, and memorizing function. Manas functions in all kinds of the first six consciousnesses, six consciousnesses, seventh consciousness, and eighth consciousness. The process of perception of the layman is reveal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seventh consciousness.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I-centered information in the layman process is called seventh consciousnesses. Processing information based on dependent origination, not I-centered, is a saint cognitive proces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information of the eighth consciousness is processed on I-centered or dependent origination becomes the healing implications of the seventh consciousness. Among the eighth consciousnesses, the remembered information, vipaka, has the possibility of a new choice, and the storehouse consciousness has the connotation of right memorizing and memorising. Body maintenance consciousness has the possibility of mental and physical healing, and bhavanga has implications for the previous life and original family.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enter the realm of healing from the consciousness of Environment and common action. The seed consciousness and permeation consciousness will plant the seed of Buddha words, and decide which one permeates or not. Each method of linguistic, visual and energetic storage has a therapeutic implication. It is the mind that decides which the cognition goal and cognition process one chooses. Transforming consciousness into wisdom, imputed nature into the complete and perfect real nature, layman into saint, convention into the Ultimate, I-centered into dependent origination is dependent on the mind as choice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