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하이데거에게 죽음은 자아 유아론적(egoistic solipsistic) 죽음, 다시 말하면 죽음의 각자성(jemeinigkeit, mineness)이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죽음은 인간 현존재(Dasein)의 전체존재를 드러내는 방식이다. 그에게 죽음의 의미는 죽음을 향한 존재(Sein zum Tode)라는 점, 아직-아님과 항상-이미의 존재론적 구조를 가진다는 점, 죽음은 고유한 존재가능이라는 점, 즉 죽음은 현존재의 불가능성의 가능성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죽음을 향한 존재는 아직 경험되지 않았지만 이미 닥쳐 있는 임박한 종말로 죽음을 향해 앞질러(Vor) 달려갈 수 있다(laufen)는 점, 즉 현존재 자신은 가장 고유한 가능성 속에서 앞에 서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죽음에 의미가 인간 현존재에게 적용될 때 무슨 의미가 있는가? 모두가 대중 속에 있는 그들-자아이고 이 속에서는 본래적 자기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이란 아무도 아닐 수밖에 없고 아무도 아니다. 무한 긍정을 통해 무한 자본만을 획득하는 그들-자아의 일상성을 깨고 자신의 존재가능을 실현하며 계속 성취해 나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은 다름 아닌 죽음을 향한 존재 앞에서 자신의 현존재를 문제시하며 의문을 던지는 본래적 자기이다. 이에 비해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에 노출된 연약성은 그의 가사성이나 죽음을 의미하며, 그에게 얼굴은 타자의 죽음을 노출시킨다. 레비나스에게 신비로서의 죽음은 주체가 주인이 될 수 없는 사건이며 그 사건과의 관계에서 주체는 더 이상 주체가 될 수 없다. 하이데거와는 다르게 죽음은 나의 죽음이 아니라 사건과 주체간의 심연을 도입한다. 죽음은 대상을 환대하고 환영하는 사건에 마주하는 관계를 도입한다. 레비나스의 죽음 이해가 타자나 타자성과 관련성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 바로 이러한 점 때문이다. 레비나스에게 형이상학적 욕구는 다름 아닌 타자에 대한 욕구이다. 죽음은 주체에게 낯선 것이나 타자이다. 죽음은 절대적 타자이다. 타자는 미래이다. 그래서 죽음은 미래와 같은 타자이다. 하이데거의 죽음은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을 정립시키는 현존재의 고유한 존재가능의 근거인 반면에 레비나스에게 죽음은 절대적 타자성이다. 레비나스에게 죽음은 타자와의 관계 물음의 근거이다. 레비나스에게 하이데거의 죽음을 향한 나의 존재는 죽음을 향한 타자의 존재로, 다시 말하면 내가 죽음을 향해 있다는 것이 타자가 죽음을 향해 있다는 것으로 바뀐다. 논자는 이러한 하이데거와 레비나스의 죽음관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일견 대립해 보이는 두 견해가 오히려 포스트모던 시대의 우리에게 유의미가 있다는 점을 제시할 것이다. 논자는 이러한 하이데거의 자기중심적 죽음이해와 레비나스의 타자 중점적 죽음이해가 무한 긍정, 무한 능력, 무한 경쟁을 통해 무한 자본, 공간, 권력 등을 소유하며 편안함과 안락함, 즉 포스트모던인들의 삶의 조건들을 추구하는 포스트모던 시대 현대인들의 사유와 삶의 방식에 통찰력 있는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Heidegger 's death and Levinas' death, and examines the difference of meaning. I would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e negative discourse of death on the thinking and way of life of postmoderns in postmodern times, pursuing only comfort and easiness by acquiring infinite capital and power through infinite affirmation, infinite ability, and infinite competition. To Heidegger death is egoistic solipsistic death, that is mineness of death. According to Heidegger, death is a way of revealing the Ganzsein of human Dasein. For him, the meaning of death is that of Sein-zum-Tode, and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not-yet and always-already, in other words the possibility of impossibility of Dasein. Sein-zum-Tode has not yet been experienced, but it is that it is already standing before (bevorstehen) the imminent end that has already can run (latufen) ahead (vor) toward death. In other words, Dasein is standing in front of itself in its ownmost potentiality for Being. Everyone is a They-self in the public, and because they cannot find their true selves in this, they are nobody and no one. It is the authentic self, who is able to break his everydayness to acquire only infinite capital through infinite affirmation, to realize his existence possibility and continue to fulfill own potentiality for Being. It is an authentic self who asks question of its own Dasein in front of Sein-zum-Tode. On the other hand, Levinas' vulnerability to the other's face means his mortality or death, and his face exposes the other's death. For Levinas, death as a mystery is an event in which the subject cannot be master, and the subject can no longer be subject in relation to the event. Unlike Heidegger, death is not my death, but the abyss between events and subjects. Death introduces opposing relationships in events that welcome and welcome objects. This is why Levinas' understanding of death has to do with other or otherness. For Levinas, metaphysical desire is a desire for the Other. Death is an unfamiliar thing to the subject. Death is an absolute Other. The Other is the future. So death is the same as the future. Heidegger 's death is the basis for its ownmost potentiality-for-Being that establishes the authentic selfhood of Dasein, whereas to Levinas death is an absolute Other. To Levinas, death is the basis for a relationship with the Other. To Levinas, Being for my death turns into Being for the death of the Other. In other words, my Being towards death turns into the Being of the Other towards death. I would not criticize both Heidegger's view of death and Levinas's view of death. I would suggest that both Heidegger's self-centered understanding of death and Levinas' the other-centered understanding of death will give They-self to those who live in the conditions of postmodern life, that is, infinite capital and space through infinite affirmation in-depth thought about what Being of the other person and the original human being is in their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