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김해의 구도심 중심지역인 동상동 종로 길 간판개선사업을 위해 대상지 간판 색채 현황을 파 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연구 대상 지역은 오래된 시설물로 침체한 거리 분위기를 형성하며, 구도심 간판의 전형적인 유형으로 재정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간판과 관련 한 선행 연구 및 유사 간판 개선 사례를 조사한 후, 대상 지역의 간판 색채 조사를 통해 주조 색, 보조 색, 강조 색을 분류하여 색채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진행될 간판 사업에 바람직한 방향을 복합적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대상 구 간을 업종별로 나누어 간판 색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업 소들의 주조 색 간판은 L*값이 평균적으로 높아 고명 도와 고채도의 색채를 가지고 다양한 원색 분포를 보 였다. 둘째, 보조 색은 대부분 백색 혹은 흑색 계열의 무채색을 사용하여 주조 색과 대비되는 색채를 선택 하고 있었다. 셋째, 강조 색은 a*값이 양수(+)에 높은 분포를 보여 적색 혹은 황색 계열과 같이 난색 위주 로 분포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 구간 점포들은 중간색 보다 채도가 높은 색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통일 성이 부족하며 이는 거리의 미관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김해 간판개선사업 색채 계획은 다양한 색을 사용하기보다 어느 정도 색채 수를 제한하고 김해시 대표색을 중심 으로 무채색과 난색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지역의 특색을 살리며 시각적으로 편안함과 안정감을 동시에 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was started to identify the color status of signboards at the target sit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the signboard project in Dongsang-dong, Jongno-gil, a central area of the old city center of Gimhae. The area under study forms a depressed street atmosphere with old facilities, and is a typical type of old city center sign that needs to be rebui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ior research related to signage and similar signboard improvement cases, and then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olors by sorting out the casting, auxiliary and highlighted colors through the survey of the color of the signboard in the target area, and to propose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future sign business base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paper divided the target sections by industry and conducted a color analysis of signboards.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ast-colored signboards in general businesses showed a variety of primary color distributions with high L* values, on average, with high intensity and high chromaticity. Second, the auxiliary colors were mostly white or black in color-free, making a contrast between the casting colors. Third, the highlight was that a* value showed a high distribution in positive water plus and was mainly distributed in obsolescence, such as red or yellow, and color was us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ore. However, the stores in the entire section lack unity because they were using colors that were higher in color than middle colors, which was causing the street's aesthetic look to be under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is thought that the future color scheme for Gimhae's signature improvement project will limit the number of colors to a certain extent and give a sense of security and visual comfort to the use of colorlessness and obscurity around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Gimh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