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현대의 기념관 교육이 문화적 재생산의 과정을 통해 사회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미 래 사회를 위해 갖춰야 할 기준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기념관 교육 분야의 연 구는 박물관 교육론을 기반으로 다루어지고 있기 때 문에 방향성이나 기준점에 대한 기념관만의 자체적인 연구 관점 형성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 의 목표는 이와 같은 문제와 견해 제시를 바탕으로 기념관 교육과 문화적 소통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범위 및 대상은 역사적 사건 또는 중요 인물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국내 기념관의 어린이 대상 교육 프로그램이며, 분석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 여 백범김구기념관, 전쟁기념관, 독립기념관을 선정하 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문화적 소통 이라는 관점에서 기념관 교육의 사회적 의미와 가치 를 살펴보고,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근거로 삼아 문화적 소통을 위한 의사소통행위 특성을 도출 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념관 교 육에서의 문화적 소통은 의사소통행위를 통해 형성되 고 발전하게 된다. 둘째, 기념관이 교육을 통해 문화 적 소통의 장으로서 역할하기 위해서는 교육 참여자 에게 다양한 유형의 의사소통행위 기회가 주어져야하 며 이를 위한 문화적 지식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문화적 소통 관점을 고려한 내용의 교육 프로그 램이 연구·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기념관 교육의 질적 발전과 문 화적 소통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기 대한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at modern memorial museums education means socially through the process of cultural reproduction and what reference points should be set for the future society. However, since research in the memorial museums education field is based on the theory of museum education, the museum lacks its own research perspective on directionality and reference points. Therefor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in-depth discussions on memorial museums education and cultural communication based on such issues and suggestions. The scope and target of this paper is a children's education program at a local memorial built to commemorate historical events or important figures, and the Baekbeom Kim Koo Memorial Hall, War Memorial Hall, and Independence Hall were selected by setting standards for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the social meaning and value of memorial museums education were exam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communica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behavior for cultural communication were derived based on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of Habermas.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communication in memorial museums education is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communicative action. Second, in order for a memorial museums to serve as a venue for cultural communication through education,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opportunities must be given to the participants and sufficient cultural knowledge must be provided for them.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the study on the qualitative development and cultural communication of the memorial museums education will contin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