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인권감수성과 자기효능감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및 이 관계에서 기관장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은 서비스 질에 정적(+) 효과를 미치는 반면, 종사자의 인권감수성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관장 리더십 유형의 경우, 주효과로서는 변혁적 리더십만 서비스 질에 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관장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자기효능감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래적 리더십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거래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장애인복지관 종사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self - efficacy on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der 's leadership type i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 - efficacy of the worker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while the employee 's sensitivity on the service did not affect the service quality. In the case of leader leadership typ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lone has a positive (+) effect on service quality as the main effect.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or effect of leader leadership type,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self - efficacy on service quality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transaction leadership.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the less the positive (+) influence of self - efficacy on service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