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study aimed to explore the appropriate and relevant ways forward for improving services to educate children with ASD in the context of Nepal.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guided by interpretive research paradigm and hermeneutic phenomenology research desig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parents, five teachers and three experts from Kathmandu Valley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some important and fruitful suggestions have been given by participants were conducting public awareness campaigns, providing earl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ervice, establishment of diagnostic center, development of ASD schools and resource centers,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IEP, production of skilled manpower, expanding investment in the sector of ASD, and utilization of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being a new concept and subject in the field of ASD in the context of Nepal, will be a mile stone for educat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본 연구는 네팔 지역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위한 적절하고 타당한 교육 지원 서비스 개선 방법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로서 각각 해석적 연구 패러다임과 현상학적 연구 설계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은 편의 표본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카트만두 지역의 학부모 5명과, 교사 5명, 그리고 3명의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대중적인 인식 개선 캠페인 활동과 조기 평가 및 중재 서비스 제공, 진단 센터 설립, 자폐스펙트럼 장애 학생을 위한 학교 및 자원 센터 개발, 교육과정 및 IEP 개발, 숙련된 전문 인력 양산, 자폐스펙트럼 장애 학생의 교육에 관한 투자 확대 그리고 전문적인 교수전략 개발 및 활용과 같은 중요하고 유익한 의견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네팔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교육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자 주제가 될 것이며, 획기적인 제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