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표회전은 사전에 설계된 요인부하행렬을 요인 회전에 적용시키는 요인분석 방법으로, 전통적인 탐색적 요인분석과는 다르게 연구자의 사전 가설을 요인 모형에 반영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는 목표회전 요인분석을 소개하고, 이론에 따른 구조를 가질 것으로 기대되는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에서 실질적으로 목표회전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요인분석에서의 전통적인 요인 회전과 목표회전 방법의 역사적 발전 과정과 수리적 원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제 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목표회전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천대학교의 창의성 검사 개발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총 211명의 1차 예비검사 자료가 두 요인분석 방법에 의해 산출된 요인부하행렬을 비교하는 데 이용되었다. 분석 결과, 목표회전 방법은 전통적 방법에 비해 더 간명하고 해석가능성이 높은 요인구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주었으며, 사회과학 영역의 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황에서도 유용성이 높음이 확인되었다.


Target rotation is one of the rotation criteria of factor analysis, which is designed to rotate the pattern matrix to a partially targeted matrix in advance. The factor analysis with targe rotation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that a priori substantive theory can be reflected to the factor analytic model.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troduce the factor analysis with target rotation and to explore applicability of target rotation in practical situations, especially in the scale development. To achieve this goal, we explor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mathematical principles of the two factor analysis methods, traditiona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vs. factor analysis with target rotation, and compare the performances of the two methods. 211 participants from a pilot study of developing a creativity scale were used for comparing the pattern matrix solutions of each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lution of the pattern matrix from the target rotation had a simpler structure and better construability than the traditional factor rotation method when data had complex underlying structure and large inter-construct corre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