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아동의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문제행동은 부모의 심리적, 정서적 우울감을 고양시키고 부모의 양육효능감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부모의 양육효능감 약화와 자녀양육으로 인한 우울감은 기독교부모의 정서적, 심리적, 신앙적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교 부모교육의 새로운 지평확장을 위해 루돌프 드라이커스의 문제행동이론을 기초한 기독교 부모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아들러의 심리학 원리를 기반으로 한 루돌프 드라이커스의 문제행동이론은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심리적 동기와 합리적 대처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고 있다. 아들러는 모든 인간은 필연적인 열등감을 가지고 있는데, 이 열등감은 공동체감, 소속감을 통해서 해소될 수 있다고 본다. 드라이커스는 이러한 아들러의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아동의 문제행동이론을 전개하였다. 그는 아동의 문제행동은 소속감을 얻기 위한 심리적 동기에서 비롯된 것이며, 관심 끌기, 힘 행사하기, 보복하기, 무능함 보이기라는 잘못된 목표에서 기인된 것이라고 한다. 그는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전략으로, 상벌 대신에 논리적 결과와 자연적 결과를 통해 아동행동의 책임을 스스로 일깨우고 자발적인 행동수정을 동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그의 문제행동이론은 한국의 일반부모교육계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고 긍정적 효과성에 대한 연구도 전개되고 있다. 드라이커스의 이론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평가를 시도해 보면, 드라이커스는 전인건강의 사회적 특성과 공동체적 관계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지만 진정한 관계성회복의 지점인 하나님과의 관계회복에 대한 담론이 부족하고, 인간의 열등감도 죄로부터 시작된 존재적 불안이라는 신학적 통찰을 제공해 주지는 못하였다. 이것은 심리학적 담론의 특성이면서 한계라고 본다. 또한 상벌이 아닌 자연적 결과와 논리적 결과를 통해 책임 있는 아동으로 이끌도록 하지만 부모의 권위와 훈계, 지도, 가르침에 대한 약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그의 기본 취지가 권위주의적 부모역할이나 자유방임적 부모역할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본다. 이러한 논의와 평가를 바탕으로 볼 때, 드라이커스의 문제행동이론은 기독교부모교육에 새로운 지평을 마련해 주며 기존의 기독교 부모교육의 보완적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그의 이론은 어린이의 문제행동의 기본 동기에 대한 통찰과 일상적 문제행동의 대처방법을 구체적으로 제공해 준다. 부모의 양육효능감을 강화시켜 주며,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고양시키고, 전인건강과 성장을 불러일으켜 주며,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대처방안을 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parental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problem behavior in Rudolf Dreikurs. The daily, repetitive, and persistent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caus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pression of parents and cause depression of parenting efficacy. A weakened sense of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depression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Christian parents’ faith lives, too. Rudolf Deikurs’ problem behavior theory provides specific psychological motivation for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how to deal with it. Alfred Adler believes that inevitable inferiority for all humans can be resolved through the social interest and the sense of belonging. R.Deikurs bases Adler psychology principle on his problem behavior theory. The problem behavior of a child is derived from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to get a sense of belonging, and wants to get a feeling of belonging through the wrong goals of attention-getting, struggle for power or superiority, desire to retaliate or getting even, display of inadequacy or assumed disability. The coping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s are based on the social equality theory and lead to the modification of behavior through ‘logical consequence’ and ‘natural consequence’ instead of punishment. His problem behavior theory is actively used in general parental education, and research on positive effects is also being conducted. In evaluating his theory, R.Dreikurs points to the importance of community and social relations. But the real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gins with the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He does not provide the theological insight that human inferiority, existential anxiety, originated from sin. In addition, Christian education should emphasize discipline and guidance from parental authority, although it is powered as a responsible child through logical consequence and natural consequence. However, Dreikurs’ problem behavior theory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Christian parental education. It provides detailed insight into the basic motiva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how to cope with everyday problem behaviors. It strengthens parental efficacy, raises self esteem of the child, and stimulates whole health and growth. His theory is able to cope with the complementary role of existing Christian parental education by training specific and practical coping strategies for child’s problem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