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요한계시록 12장은 고대 전쟁 신화의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들이 많았다. 물론 전쟁 신화와 비슷한 요소들도 등장하지만, 과연 요한계시록 12장의 전쟁신학을 담을 수 있는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 본 논문은 요한계시록 12장의 각 단락마다 등장하는 세 모티프(여자-뱀 후손 간의 대결 구도 모티프, 출애굽 모티프, 거룩한 전쟁 모티프) 중첩사용을 중심으로 구약과 초기 유대교 문헌의 배경 연구를 하고자 한다(계 12:1-6, 7-12, 13-18). 이러한 배경 아래, 신화적 해석의 한계들을 극복하고 왜 요한이 세 모티프들을 사용하여 교회 공동체와 사탄 간의 종말적 전쟁을 묘사했는가를 규명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요한계시록 12장의 종말적 전쟁신학의 본질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요한계시록 12장은 세 모티프들이 중첩되어 사용되었고, 이러한 전통은 구약과 초기 유대교 문헌에서도 발견된다. 여기서는 세 모티프가 사용된 하박국 3장과 Ps Sol 2편을 신약의 구약 사용의 방법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요한계시록 12장이 어떤 전쟁신학을 제시하고 있으며 각 모티프들이 어떻게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살펴본다. 먼저 로닝(Ronning)의 주장대로, 대결 구도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즉 창세기 3:15의 두 후손 간의 대결 구도에서 민족적 차원으로 발전한 것이 출애굽 모티프이다. 이 대결 구도 가운데 하나님의 백성을 위해 거룩한 용사이신 하나님이 개입하면 거룩한 전쟁의 양상이 된다. 결국 세 모티프는 창세기 3장을 출발점으로 하여 하나님의 백성을 위한 구원과 심판이라는 주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당시 교회 공동체는 황제 숭배로 인한 거짓 교훈으로 미혹을 받는 상황 가운데 있었다. 요한은 당시 핍박받는 소아시아 지역 성도들에게 하나님의 구원과 심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세 모티프를 각 단락마다 중첩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ttempts to interpret Revelation 12 from ancient mythological perspective. There are, of course, similar elements to the myth of war, but there is no other way to question whether it can contain the theology of war in Revelation 12.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background of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ewish literature, focusing on the use of three motifs (confrontation motif between the woman's offspring and the serpent's offspring, exodus motif, holy war motif) appearing in each paragraph of Revelation 12 (Rev 12:1-6, 7-12, 13-17). Against this backdrop, in this thesis I aim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mythical interpretations and identify why John used these motifs to describe the apocalyptic war between Church and Sat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ssence of the eschatological war theology of Revelation 12. Revelation 12 uses three motifs overlapping and this tradition is also found in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ewish literature.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look over Habakkuk 3 & Ps Sol 2 as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This study will examine what kind of war theology is presented through three motifs and how each motif is connected. First, according to Ronning's argument, it is the exodus motif that developed from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descendants of Genesis 3:15” to the national level. In this confrontation, when God fights for the offspring of woman, it becomes a pattern of holy war. Three motifs are organically linked to the theme of salvation and judgment for the people of God, starting with Genesis 3. At that time, the church community was in a state of being deluded by false teachings due to emperor worship. John seems to have used three motifs in each paragraph to effectively show God's salvation and judg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