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 교육이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이의 실현 과정을 도외시하고 있다는 연구자의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현대 교육은 치열한 경쟁 구도 속에서 도구적 수단으로 전락되었다. 이 시점에서 우리에게 절실한 것은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가’. ‘무엇이 의미 있는 공부이고 바람직한 공부인가’라는 인간과 공부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성찰을 우리 교육 목표에 포함시키는 것이 교육철학의 중요한 과제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연구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현대 심리학인 로고테라피의 교육철학적 해석을 통해 현대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로고테라피는 오스트리아의 의사이자 심리학자인 빅터 프랭클(Victor E. Frankl, 1905~1997)이 창시하였으며, 실존 분석적 심리치료 이론이면서 동시에 인간을 자유와 책임이 있는 존재로 파악하고 삶의 의미에 대해 깨어 있는 자세를 촉구하는 의미철학이다. 로고테라피는 영적 무의식의 발견을 통하여 인간의 본질을 생리적·차원을 넘어선 영적인 차원(noological dimension)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로고테라피에서의 영적 실존은 그리스어 logs의 원형적 사고와 연관되어 존재론적 성격과 동시에 인식론적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이론의 최종적인 목표는 인간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구체적인 삶에서 실현하는 것이다. 로고테라피에서는 인간 본질을 온전히 실현한 이상향을 ‘성인’으로 상정하며, 이에 다다르기 위해 자아초월self-transcendence과 도전의지를 강조한다. 로고테라피에서의 자아초월이란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조건에 맞서 나 자신을 넘어 다른 사람, 어떤 대상을 지향하면서 ‘창조적 가치’, ‘체험적 가치’ 및 태도적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 로고테라피가 ‘교육의 목표 설정’, ‘교육 목표 달성 방법’, ‘인간 의지에 대한 이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우리 교육에 필요한 깊은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교육 목표’에 ‘인간의 본질’ 혹은 ‘삶의 의미’라는 영적(noological) 영역을 포함시키는 문제, 진정한 자아실현을 위하여 ‘자아초월’을 ‘교육 목표 달성 방법’으로 고려하는 문제는 앞으로 우리 교육에서 새롭게 논의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인간 본질을 자신의 삶에서 실현시키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 즉 인간의 자유와 선택 및 책임을 강조하는 것은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인간 이해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적 시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awareness that our education lacks the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with the process of its realization. Modern education has been degraded into a tool for fierce competition. What we desperately need to answer at this point is the question of a fundamental reflection about human and study, such as ‘what is a human being?’ and ‘what is a meaningful and desirable study?’. It is argued that an important task of educational philosophy is to include these reflections in our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 alternative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education through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he logotherapy. Logotherapy, through the discovery of spiritual unconsciousness, has shown that human nature should be sought in a spiritual dimension (noological dimension) beyond a physiological dimension. The spiritual existence in logotherapy appears to have an epistemological as well as an ontological characters derived from the circular thinking of Greek ‘logs’. The ultimate goal of this theory is to seek to understand human nature and to realize it in concrete life . Logotherapy posits ‘sage’ as the ideal of fully realized human nature, and emphasizes as a method self-transcendence and willingness to challenge. Self-transcendence in logotherapy means realizing one's ‘creative value’, ‘experiential value’ and ‘attitude value’ while going beyond one's self towards others, standing up to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conditions. It is shown that logotherapy offers deep insights for our education in three aspects: ‘setting the goals of education’, ‘the way to achieve the goals of education’ and ‘understanding the human will’. The issues of including of the spiritual dimension (noological dimension) of ‘human nature’ or ‘meaning of life’ in ‘educational goals’ and of considering ‘self-transcendence’ as a ‘method for achieving educational goals’ for true self-realization should be discussed anew in future education. Also, emphasizing human will to realize human nature in one's life - human freedom, choice and responsibility - could bring a paradigm shift view of understanding human in our society.